매일신문

보이스피싱 94%가 '중국발'…5년간 피해액 '4조원' 넘었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가 24시간·365일 운영을 시작한 17일 서울 종로구 통합신고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전화 상담을 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가 24시간·365일 운영을 시작한 17일 서울 종로구 통합신고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전화 상담을 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대책에 따라 경찰청을 중심으로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이 출범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4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1년 예산에 맞먹는 수준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상휘 의원(국민의힘)은 30일 경찰청 자료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보이스피싱 범죄가 처음 일어난 2006년부터 2021년까지 15년간 누적 피해액(통계청 기준) 3조8천681억원을 넘어선 수치다.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파악된 보이스피싱 전화 발신국 94.2%가 중국이었고 베트남 4.1%, 태국 0.58% 순이었다.

수법은 더욱 교묘해졌다. 해외 인터넷전화를 국내 010 번호로 변작하고, VPN을 경유해 국내망을 활용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발신지가 은폐되면서 범죄 추적은 더욱 어려워지고 피해 확산은 가속화되는 실정이다.

피해자 연령별 현황을 보면 올해 7월까지 ▷20대 이하 3천534명 ▷30대 1천583명 ▷40대 1천859명 ▷50대 3천217명 ▷60대 3천728명 ▷70대 이상 786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60대 피해자는 전년 대비 85.4%, 70대 이상은 29.7% 증가해 고령층 피해가 급증했다. 메신저 피싱 피해자 3천950명 중 60대 이상이 72%를 차지, 고령층이 주요 표적이 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 의원은 "국민의 재산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라며 "보이스피싱이 날로 고도화되고 있음에도 정부가 미온적으로 대응한 결과 불과 5년 만에 15년 누적 피해액과 맞먹는 수준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보이스피싱은 단순한 전화사기가 아니라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ICT 안보 위협"이라며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