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화 좀 해라" 현실로…부모와 따로 사는 자녀, 일주일에 한 번꼴로 연락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부모와 따로 사는 비율 44.38%… 소득별 격차 뚜렷
전화는 일반 가구가 더 자주, 왕래는 저소득 가구가 더 많아
통화 연 106회, 왕래 연 42회… 생활 패턴 수치로 드러나

추석을 앞둔 2일 서울역에서 귀성길에 오른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석을 앞둔 2일 서울역에서 귀성길에 오른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너는 왜 연락을 안 하니"라는 말이 수치로 드러났다. 지난해 부모와 따로 사는 자녀들은 평균 106번의 전화를 걸었다. 사나흘에 한 번꼴에 불과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제19차 한국복지패널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7천499가구 가운데 부모와 따로 사는 비율은 44.38%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별로는 일반 가구의 부모와 따로 사는 비율이 49.72%였으며, 중위소득 60% 이하 저소득 가구는 17.52%에 그쳤다.

따로 사는 부모와의 전화 통화 횟수는 중윗값 기준 연 52회, 평균 연 106회로 조사됐다. 이는 일주일에 한 번꼴(중윗값 기준), 또는 사나흘에 한 번꼴(평균 기준)로 연락한다는 의미다.

소득별 통화 횟수는 일반 가구 평균 106회, 저소득 가구 평균 95회였다. 반대로 부모와 직접 만난 횟수는 중윗값 연 12회, 평균 연 42회로, 저소득 가구(46회)가 일반 가구(42회)보다 많았다.

연구팀은 "왕래에서는 저소득 가구가 일반 가구보다 접촉 빈도가 높았던 반면, 전화 연락에서는 반대였다"며 "다만 저소득 가구의 경우 표준 오차가 크게 나타나, 가구 간 편차가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06년부터 매년 한국복지패널 조사를 통해 국민 생활 실태와 복지 수요를 분석해오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