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장정지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인 가운데 생존률을 따져본 결과 경북은 낮게 나왔고 대구는 높은 편으로 나와 지역간 격차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6일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급성심장정지 환자수는 지난 2015년 3만771건에서 2023년 3만3천586건으로 9.1% 증가했다. 생존률은 2015년 6.3%에서 2024년 상반기 기준 9.2%로 다소 높아지긴 했으나 여전히 10명 중 9명은 사망에 이르는 수준이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농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생존률이 낮았다. 지난해 상반기를 기준으로 생존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로 12.4%였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5.4%의 전남이었다. 대구경북지역 또한 도시인 대구는 10.4%의 생존률을 보였지만 경북은 5.9%로 전국에서 전남 다음으로 낮았다.
이같은 차이는 비수도권과 농촌지역이 수도권과 도시지역에 비해 고령인구 비율이 높다는 점과 심폐소생술 시행률 때문이라는 게 박 의원의 분석이다. 지난해 상반기를 기준으로 서울, 세종 등 특별시 지역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48.2%였지만 광역시는 26%, 군 지역은 19.9%로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경우 생존률은 14.3%로 하지 않았을 때의 6.4%보디 2.2배 높게 나왔다.
박 의원은 "급성심정정지 환자의 생존율 개선을 위해선 생존사슬의 각 고리가 효과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며 "고령층이 많고 병원 접근성이 낮은 지방을 중심으로 교육과 홍보를 집중적으로 강화해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높이고, 저체온 치료 등에 대한 연구도 보다 적극적으로 동반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추석민심' 李 긍정평가 59%, 부정평가 33%…'취임 100일'과 비교해보니
주진우 "9월 28일 李 '냉부해' 촬영 증거 추가 공개, 허위 브리핑 강유정 형사고발"
이진숙, 체포 50시간 만에 석방
조국 "국힘 반드시 반토막 이하로 줄여야…걸림돌을 없애는 일"
체포적부심 인용 후 부는 역풍… 국힘 "국감서 경찰 책임 물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