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업성취도, 중간이 없다…중상위권 중고생 학력수준 줄하락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최근 5년간 학업성취도 분석…보통·우수학력률, 국영수 모두 하락
국어 미달률 크게 늘고 있어 교육당국 대처 필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실시된 지난 6월 4일 오전 대구 수성구 대구여자고등학교에서 고3 수험생들이 시험을 치르고 있다. 사진은 기사사실과 관련없음. 매일신문 DB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실시된 지난 6월 4일 오전 대구 수성구 대구여자고등학교에서 고3 수험생들이 시험을 치르고 있다. 사진은 기사사실과 관련없음. 매일신문 DB

중고등학생의 학력 수준이 최근 5년간 전반적으로 낮아졌으며, 국어 과목은 특히 더 떨어지고 있어 교육당국의 대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8일 교육부로부터 받은 '2020∼2024년 시도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따르면,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모두 국어, 수학, 영어 교과 전체에서 '3수준(보통학력) 이상' 성취수준 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수준 현황과 변화 추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매년 실시되는데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전체 학생의 3%를 표집해 국어, 수학, 영어를 중심으로 시행된다. 지난해 9월 실시된 평가에는 전국 524개교에서 2만7천606명의 중·고교생이 참여했다.

교과별 학업 성취 수준은 4수준(우수학력), 3수준(보통학력), 2수준(기초학력), 1수준(기초학력 미달) 등 4단계로 나뉜다.

먼저 중3의 경우 2020년 기준 '3수준 이상', 즉 보통·우수학력 비율이 국어 75.4%, 수학 57.7%, 영어 63.9%였으나 2024년엔 국어 66.7%, 수학 48.6%, 영어 61.2%로 각각 8.7%포인트, 9.1%포인트, 2.7%포인트 하락했다.

고2 상황도 마찬가지였다.

2020년 당시 보통·우수학력 비율은 국어 69.8%, 수학 60.8%, 영어 76.7%였으나, 2024년 국어 54.2%, 수학 57.2%, 영어 72.4%로 각각 15.6%포인트, 3.6%포인트, 4.3%포인트 감소했다.

과목별 1수준(기초학력 미달) 비율의 추이를 보면, 유독 국어만 해당 비율이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3의 국어 기초학력 미달률은 2020년 6.4%에서 2024년 10.1%로 3.7%포인트 증가했고, 고2는 6.8%에서 9.3%로 2.5%포인트 늘었다.

기초학력 수준이 좀처럼 오르지 않는데도 교육부의 기초학력 보장 예산은 올해 1천319억원으로 작년보다 290억원 줄어든 상태다.

진선미 의원은 "국어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률이 증가한 것은 교과목 전반에 지장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며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제도가 체계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