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의 요금제가 재편될 전망이다. 요금제를 단순화하고 적극적으로 알려 소비자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 데 따라서다.
1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통신 3사가 현재 운영 중인 요금제는 718개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통신 3사가 실제 가입 받는 요금제는 251개다. 정확히 집계되지 않는 알뜰폰 업체를 합하면 요금제는 수천 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를 두고 이동통신 요금제가 지나치게 복잡해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 의원은 "통신 3사의 요금 체계가 지나치게 복잡한 만큼 5G와 LTE 구분이 없는 통합 요금제 시행을 통해 가계 통신비를 줄이고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요금제 개편을 준비하고 있다. 5G·LTE 기술 방식 구분 없이 데이터 용량이나 전송 속도에 따라 요금을 고를 수 있는 통합 요금제를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당국과 통신 3사는 연내 통합 요금제 출시를 목표로 마무리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박정훈 "최민희 딸 결혼식에 과방위 관련 기관·기업 '축의금' 액수 고민…통상 정치인은 화환·축의금 사양"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장동혁 "어제 尹면회, 성경과 기도로 무장…우리도 뭉쳐 싸우자"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