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부동산 옥죄기 정책으로 비수도권 핵심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신고가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10·15 부동산 대책도 더해지며 대구 수성구 등 핵심지를 중심으로 문의도 늘어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20일 직방이 2025년 6~10월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부동산 침체를 이어가고 있는 대구 지역 9월 신고가 비율은 4.0%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6월(3.3%) 대비 0.7%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앞서 지난 7월 대구 지역 신고가 비율은 2.7%까지 떨어진 뒤 8월 소폭 상승해 3.1%를 기록했다.
6·27 부동산 대책을 내놓으면서 지방 핵심지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늘어나고 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이어 최근 정부가 10·15 규제 대책까지 내놓자 이 같은 현상은 더욱 두드러질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둘째 주(13일 기준) 대구 핵심지 수성구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06% 상승하며 13주 만에 반등했다.
대구 수성구 범어동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소장은 "규제 이후 서울, 경기도 지역민의 문의가 늘었다"며 "서울과 수도권에 투자 부담이 가중되면서 비교적 부담이 적은 지방에 관심을 두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부동산 관계자는 "수성구를 중심으로 한 재건축 단지와 노후 단지에 대한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며 "비교적 저렴한 대체지를 찾아 투자에 나서려고 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가 '불장'이 펼쳐지고 있는 서울, 수도권 부동산에 대한 규제를 위해 세 차례에 걸친 규제 정책을 내놨지만 지방과 수도권 간의 온도차는 여전하다. 지난달 서울에서 거래된 전체 아파트 거래량 가운데 24%가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6월 신고가 비율(22%) 대비 2%p 상승한 수치다. 특히 서울 핵심지는 신고가 비율이 거래의 절반을 넘기도 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초구의 신고가 비중은 54%에 달했다. 이어 강남구(42%)·용산구(35%)·송파구(32%) 순으로 나타났다.
직방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대책 발표에 따른 적응 기간이 불가피해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그러나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입지 중심으로 이동을 이어가고, 실수요층은 예산에 맞춘 대체 지역이나 중간 가격대 주택을 선택하는 흐름을 보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처럼 시장 전반의 동반 상승보다는 입지·상품성·자금 여건에 따른 '선택적 회복' 구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박정훈 "최민희 딸 결혼식에 과방위 관련 기관·기업 '축의금' 액수 고민…통상 정치인은 화환·축의금 사양"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
장동혁 "어제 尹면회, 성경과 기도로 무장…우리도 뭉쳐 싸우자"
한동훈 "尹 돈 필요하면 뇌물받지 왜 마약사업?…백해룡 망상, 李대통령이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