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곳곳서 '노쇼 사기' 기승…이젠 건설업체까지 노린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공공기관 사칭 물품구매사기 주의 포스터. 경북경찰청 제공.
공공기관 사칭 물품구매사기 주의 포스터. 경북경찰청 제공.

최근 경북 곳곳에서 노쇼 사기 사건이 다시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기존의 식당과 같은 영세업자를 상대로 한 주문형 노쇼 사기 수법이 아니라 이제껏 피해를 입지 않았던 건설업체 등을 대상으로 한 사기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 29일 포항·김천·예천 등 지역 업체에 전화해 공공기관 직원을 사칭해 업체와 계약을 맺자고 속인 뒤 살균소독기 등을 대리구매 해달라고 속여 총 1억4천여만원을 편취한 사건이 발생했다.

영주에서도 시청 공무원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사기범죄가 20여 건이 발생했다. 피해자 등에 따르면 지난 28일 한 남성이 개인 휴대전화로 연락이 와 영주시청 건설과 B 주무관이라며 수의계약을 주겠다며 '소화기 6대를 납품'을 요구했고, 1천900만원을 송금해 피해를 입었다.

이보다 앞서 24일에는 포항과 경산에 대구시청 직원이라고 자신을 속인 뒤 화재감지기 대리구매를 요청해 업체로부터 3억여원을 가로챈 사건도 발생했다. 또 경주, 영덕, 울진 등 지역에서도 시청 공무원 등을 사칭한 뒤 대리구매를 요청하는 수법으로 1억3천700여만원을 편취한 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추적 중이다.

이달 하순부터 발생한 피해액만 약 6억원에 달한다.

경찰은 이 같은 노쇼 사기형 범죄가 다시 확산하는 것으로 보고 업체 등을 상대로 피해 예방을 알리는 등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화 발신지 추적 등을 통해 일당을 쫓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이 같은 전화를 받을 경우 반드시 해당 기관에 직접 전화를 걸어 신분을 확인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대량 주문시 선결제나 예약금 요구하기, 대리구매 등을 요구하는 것은 신종 사기라고 의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피싱 범죄 조직원들이 업체 관계자에게 보낸 국립경국대 직원 사칭 명함. 독자 제공.
피싱 범죄 조직원들이 업체 관계자에게 보낸 국립경국대 직원 사칭 명함. 독자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