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의 성지로 불리는 경북 구미가 다시 한번 뜨겁게 끓었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한 '2025 구미라면축제'가 전국적인 관심을 받으며 흥행에 성공했다.
9일 구미시에 따르면 지난 7일부터 사흘간 구미라면축제의 방문객은 35만명, 갓 튀긴 라면 판매 개수는 48만개다. 갓 튀긴 라면으로 요리된 음식은 3일 누계 5만4천 그릇으로 6억원의 매출이 나왔다.
행사장은 대경선을 타고 온 대구 시민을 비롯해 서울, 평택 등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인파로 라면문화로드 475m 구간은 종일 가득 찼다.
음식 축제의 본질인 '취식존'은 발 디딜 틈 없었다.
메인 취식존 '후루룩 라운지'는 패밀리존, 골목야장존 등 6개 테마로 구성돼 가족 단위 방문객부터 청년층, 외국 관광객까지 세대와 취향을 아우르는 공간으로 호평을 받았다.
특히 토마토, 갈비 짜장, 훈제삼겹, 통어징어 등 치열한 경쟁을 뚫고 선발된 라면레스토랑에 입점한 가게가 특색 있는 라면 요리를 뽐내면서 시민들의 오감을 끌었다.
올해 라면 축제에서 가장 돋보이는 인기 상품은 갓 튀긴 라면을 담은 투명한 비닐가방인 '라면 백팩'이다.
축제장을 찾은 관람객들은 책가방처럼 멜 수 있는 라면 백팩을 구매해 인증샷 남기며 신드롬을 일으켰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귀엽고 실용적'이라는 평가와 함께 라면거북이라는 별칭도 생겼다.
경산에서 온 대학생 김모(23) 씨는 "평소와는 다르게 대경선 출발지인 경산부터 이미 구미라면축제를 가려는 사람들로 대경선이 가득 차면서 놀랐고, 투명한 라면 백팩 아이디어가 접목된 것에서 다시 놀랐다"고 말했다.
올해 새롭게 도입된 QR 주문 시스템은 대기 시간을 크게 줄이며 관람객의 편의성을 높였다. 방문객들은 "스마트해졌다"는 반응을 보이며 한층 진화한 축제 운영에 높은 점수를 줬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구미라면축제는 산업, 문화, 청년의 에너지가 한데 어우러진 구미만의 혁신형 축제로 자리 잡고 있고, 시민이 즐기고 상권이 살아나는 도심형 축제의 모델을 확립했다"며 "'오리지널 라면도시 구미' 브랜드가 세계로 퍼져나가도록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몸싸움·욕설로 아수라장된 5·18묘지…장동혁 상의까지 붙들렸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