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차질 빚는 '금호강 르네상스 사업', 국비 확보 방안 시급히 찾아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를 내륙 수변(水邊) 도시로 만들려는 '금호강 르네상스 사업'이 예산 문제로 차질을 빚고 있다. 행정사무감사에서 대구시가 이 사업의 완료 시점을 당초 2028년에서 2033년으로 5년을 미룬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다. 사업 계획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14일 대구시 맑은물하이웨이추진단을 상대로 한 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김재용 시의원은 "업무 보고에 따르면, 원래 2028년 완료를 목표로 했는데 현재는 5년 연장돼 2033년으로 돼 있다"며 금호강 르네상스 사업의 지연(遲延) 이유를 물었다. 이에 추진단은 "당초 국비 확보 계획에 차질이 생겨 사업을 미룰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재정(財政) 부담에 따른 사업 추진의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점을 시인한 것이다.

금호강 르네상스 사업은 도심을 둘러싸는 금호강 일대를 생태·문화·관광이 어우러진 수변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금호강 르네상스는 윤석열 전 대통령 대선 공약·민선 8기 대구시 핵심 사업이다. 이 사업은 환경부의 '지역맞춤형 통합하천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사업비 3천200억원 중 50%를 국비(國費)로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지난해 기획재정부가 재정 부족을 이유로 통합하천사업을 중단키로 결정했다. 금호강 르네상스 사업이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선도 사업(先導事業)으로 추진 중인 금호강 하천 조성사업과 디아크 문화관광 활성화 사업도 어려움에 놓였다. 시는 두 사업의 국비를 확보했으나, 시비(市費)를 내년 본예산에 반영하지 못했다. 시의 재정난 때문이다.

시는 공모 사업을 통해 국비를 확보, 금호강 르네상스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식이면, 사업 진행은 하세월(何歲月)이다. 시가 이 사업을 계속 추진할 여력이 있는지 의문도 든다. 대구경북신공항 건설, 대구시청 신청사 건립 등에 드는 예산 마련을 위해 빚(지방채 발행)을 내야 할 형편이기 때문이다. 시는 현실을 고려해 사업을 조정하고, 정부를 설득해 국비 확보 방안을 찾아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