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추격과 환율 불안 속…구윤철 "韓, 대미 밸류체인 중심으로 재편해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반도체·조선·AI 연계한 한미 전략투자 강조
환율 안정·장기투자 인센티브·금산분리 논의 등 경제 전반 정책방향 제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재부 기자실에서 열린 출입기자간담회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11.19. 기재부 제공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재부 기자실에서 열린 출입기자간담회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11.19. 기재부 제공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중 경쟁 격화와 공급망 불안이 중첩된 경제 환경을 진단하며 한국경제의 향후 전략을 한미 중심의 밸류체인 강화로 제시했다.

구 부총리는 1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반도체조차 중국이 따라잡으려 한다는 얘기를 들으면 경제부처 장으로서 섬뜩하다"며 "중국의 추격 속도가 매우 빠르고 한국 반도체를 넘어서려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원 무기화와 수출통제 등으로 글로벌 밸류체인이 흔들리는 상황을 거론하며 "한국경제가 핵심축이 되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규모 대미 투자를 단순한 자본 이전이 아니라 밸류체인 구축 전략으로 규정했다. 구 부총리는 "조선업에 1천500억달러를 투자해 미국과 연대하면 중국이 따라오기 어려운 조선 밸류체인을 만들 수 있다"며 "2천억달러 규모의 추가 투자도 반도체·에너지·바이오·인공지능(AI)·양자 같은 분야를 선점하기 위한 적극적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 기금 조성 방식에 대해선 "정부 내부 협의 중이며 국회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환율 불안에 관해선 "주요 외환 수급 주체와 협의해 과도한 불확실성이 나타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 조정 방향을 묻는 질문엔 "외환시장은 민감해 말하기 어렵다"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재부 기자실에서 열린 출입기자간담회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11.19. 기재부 제공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재부 기자실에서 열린 출입기자간담회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11.19. 기재부 제공

자본시장 정책도 내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구 부총리는 "장기투자를 확실히 유도하겠다"며 ISA를 통한 장기투자 인센티브 확대, 소액주주 중심의 혜택 강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배당소득 분리과세와 상속세 공제 확대 논의에는 "합리적 방향으로 협의하겠다"고 했다.

금산분리 완화 요구에 대해선 "근본 정신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검토하겠다"며 신중한 개혁 의지를 보였다. 그는 "지금은 '죽느냐 사느냐'의 환경이지만 규제를 무조건 유지하는 게 능사는 아니다"며 "부작용을 통제할 수 있다면 관계부처와 밤을 새워서라도 결론을 내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내년을 잠재성장률 반등의 원년으로 규정하며 "연간 성장률은 최소 0.9% 이상, 내년은 1%대 후반으로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정부 조직개편과 관련해서는 "결정된 사항에 매달릴 게 아니라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느냐가 중요하다"며 기재부가 한국경제의 '그레이트 어게인'에 앞장서겠다고 했다.

AI 대전환과 관련해선 "한국이 선도국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며 "내년부터 주요 기업과 매달 소통해 성장전략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마지막으로 "제값 받고 투명하게 국유재산을 관리하는 제도 개선안을 다음 달 중순까지 마련하겠다"며 경제 전반에 걸친 개혁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재부 기자실에서 열린 출입기자간담회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11.19. 기재부 제공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재부 기자실에서 열린 출입기자간담회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11.19. 기재부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