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구총독부 건물의 철거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구조선총독부 건물이 헐린다. 그간 철거 또는 이전복원문제를 두고 논란이많았으나 김영삼대통령이 철거쪽으로 결단을 내림에 따라 이 문제는 일단락된셈이다. 뿐만아니라 민족정기의 회복차원에서 추진돼온 경복궁복원사업도 구총독부의 철거로 순조롭게 진행되게 됐다.구총독부건물에 대한 이같은 처리방향은 여러가지로 깊은 뜻이 있다고 여겨진다. 우선 일제잔재의 상징으로 존재해왔던 이 건물을 철거함으로써 오욕된력사를 바로 잡아야겠다는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될수 있는것이다. 게다가 이 건물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사용, 민족문화의 정수인 문화재가 보존돼 있는 현실은 분명히 잘못됐다고 볼때 이를 시정하는 의의 또한 크다하지 않을 수 없다.

청와대는 이 문제와 관련한 여론조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 철거쪽이 51.4%,반대가 31%로 나타났다. 여기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일은 이 건물을 철거는하되 축소복원하는 문제도 고려해봄직하다는 점이다. 치욕의 역사도 역사로서 보존, 교훈으로 삼아야 할 가치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이번 결정이 내려진 시기 또한 시사하는바 크다. 광복절을 앞두고 임시정부요인 5위의 유해가 봉황안장되는 것과때를 같이한것은 민족사의 잘못된 줄기를 바로 잡아나가야 한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이제 앞으로 남은 과제는 국립중앙박물관의 건립과 경복궁의 복원사업이다.국립박물관은 김대통령의 말대로 단순한 이전이 아니라 통일한민족시대에 대비하고 5천년 문화민족으로서의 긍지에 합당한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룡산가족공원(9만평)으로 이전이 검토되고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은 10년세월에 7천억-8천억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대역사다. 이를 주관할 정부관계부처는 치밀한 계획하에 차질없는 진척을 도모하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 지난90년부터 10개년 계획으로 추진중인 경복궁 복원사업도 충분한 고증자료를 바탕으로 건립돼야 할 것이다. 특히 최대걸림돌인 총독부건물이 철거됨으로써 일제에 의해 훼손됐던 부분이 옛 모습을 되찾는다는 점을 감안, 정성을 쏟아야 할 것이다.

이에 곁들여 이 두사업은 김대통령 임기중 완공에 연연하지말고 많은 시간이걸리더라도 먼 앞날을 내다보는 장기적 안목으로 추진되기 바란다. 특히 새로 건립할 국립중앙박물관의 경우는 그 위치와 규모등에 대한 폭넓은 의견을수렴, 민족사의 영원한 산교육장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