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로스 갈리 UN사무총장은 24일 입북회견에서 자신의 방북목적을 {예방외교}라고 규정했다. 이때 한 외신기자가 "예방외교라면 무엇을 예방한다는 말인가. 전쟁(WAR)을 말하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부트로스 갈리총장은 {국제적위기상황}(CRISIS)이라고 대답했다.젊은 외신기자의 입을 통해 너무도 쉽게 나온 {전쟁}이라는 말에 등골이 오싹했다.
판문점 정전회담장에 그어진 군사분계선앞에서 다시 그를 만난 한 외신기자는 때마침 크리스마스를 맞아 "금일성북한주석에게 할 인사말은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그는 "{평화}라는 말이다. 크리스마스를 맞아 모든 이에게 평화를선사하고 싶다"고 말했다.
"{전쟁}과 {평화}. 우리에게는 {운명}과도 같은 말들을 왜 이들의 입을 통해들어야 하는가"하는 불쾌감이 머리를 스쳤다.
그것은 비단 걸프전쟁이 시작되기 직전에 이해관계국을 오가며 {예방외교}에분주하던 갈리총장의 모습을 떠올렸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해외에서 외국인을 만나면 자주듣는 말이 있다. "남한에서 왔는가, 북한에서왔는가"하는 질문과 "한국은 왜 통일하지 않는가"하는 질문이다.한국의 분단은 2차대전 직후 연합국에 의해서였고, 어디까지나 타의에 의한분단이었다는 설명이 이들에게는 좀처럼 먹혀들지 않는다.
북한핵문제를 둘러싸고 한반도가 다시한번 국제사회의 관심을 끌고있다. 이해당사국들은 모두 {평화적 해결}을 다짐하고 있으나, 최악의 시나리오는 여전히 남아있다. 바그다드에서 걸프전 발발을 특종보도했던 미국의 CNN-TV가서울 취재팀을 보강했다는 웃지못할 소문도 나돌고 있다.
해방도 분단도 6.25도 모두 불가항력적인 국제정세의 탓으로 돌릴수 있다.그러나 그로인해 떠안게 될 고통과 슬픔은 모두 종국에는 당사자의 책임으로남는다. "한국은 왜 통일을 하지 않는가"는 질문처럼.
북한핵문제 만큼은 국제사회의 논리에 맡겨둬서는 안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