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민정부 출범으로 기존 민중예술분야 문화공간들의 활동폭이 크게 위축, 새로운 방향모색이 요구되면서 대구지역 민중예술진영은 대중속에 뿌리 내리는프로그램 개발등 활성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지난 해 전주 온다라미술관에 이어 올 3월말엔 서울의 그림마당 민이 폐관될예정으로 있는등 주요 민중문화공간들이 잇따라 문을 닫고 있다. {새로운 변화}가 민중예술진영의 시급한 과제로 대두, 다양한 체질개선이 모색되는 가운데 대구의 유일한 민중예술공간인 예술마당 솔(대표 최재우)은 그 어느 때 보다도 대중에 가까이 다가가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내놓아 관심을 끌고 있다.지난 90년 향토의 뜻있는 문화인들이 {한국적 얼을 바탕으로한 예술} {시대정신을 담은 예술}등을 지향, 전시.연희공간으로 출범한 예술마당 솔은 대부분의 이같은 문화공간들이 그러했듯 정치.사회적 이슈나 이데올로기에 편중된활동방향을 고수, 나름대로 민중예술을 지역에 보급하는데 한몫을 했으나 대중성 획득에는 무리가 있었던 것이 사실. 특히 문민정부 등장으로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민중미술 15년전}같은 전시회를 갖는등 민중예술에 대한 수용폭이 크게 넓어져 종래 이들 공간이 지닌 공간적 희소성이 퇴색, 새로운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예술마당 솔도 대중화를 겨냥한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의 개발에 역점을 두고있다.
유홍준교수의 {한국미술사 슬라이드 강좌}와 {솔 문화유산 탐방}등 우리 문화 알리기 프로그램을 널리 알린데 이어 올해는 박종문 교수(효성여대)등이강사로 초빙돼 가요.팝등 대중음악을 새롭게 조명하는 {민중적 입장에서 본대중 음악사}강좌를 신설했고 침술등 우리 전통의학을 가르치는 {민족의학 강좌}, 판소리 강좌등을 열고 있다.
최근 창립된 민예총대구지부(지부장 정지창)가 올해 신설할 예정인 {한국의고건축}(강사 조자용 에밀레박물관장), {민족미학}(강사 강대석 채희완 홍승용)등의 강좌도 예술마당 솔에서 가질 계획이다.
초대 예술마당 솔의 대표였던 정지창 교수(영남대)는 "과거엔 소재 자체만으로도 접근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민중예술에 대한 시각변화로 단순한 소재주의만으로는 설 자리가 없다"며 "민중적인 시각위에 새로운 대중성 찾기가 당면과제"라고 강조했다. 최재우 대표도 예술마당 솔의 전시공간으로서의 시설미비등을 들어 앞으로는 연희공간과 다양한 강좌위주로 운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