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케이블TV의 대부 에드워드 폴란스키시(61)가 주한 캐나다대사관 초청으로 15일 내한했다.캐나다 앨버타주에서 지난 50년대 초 케이블TV방송국을 시작한 뒤 20년 전부터는 자연다큐멘터리 채널인 {Nature Canada}를 운영하고 있는 폴란스키시는 캐나다 정부로부터 {케이블 선구자}라는 훈장을 받은 12명 가운데 한 사람.
-다채널 미디어 시대에 공중파, 케이블, 위성방송 등을 효율적으로 배합할수있는 정책 아이디어가 있는가.
*단지 전송수단에 불과한 세가지 매체를 경쟁시킨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지만 경쟁체제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후발주자인 한국은 이들 매체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는 좋은 여건에 있다.
중요한 것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매체정책이다.
-캐나다 경우 미국의 수백개의 채널이 위성을 통해 국경을 넘어 들어올 전망인데 캐나다 정부는 어떤 대책을 세우고 있는가.
*그 점은 한국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캐나다 정부는 미국채널의 무차별적인침투로 문화적인 침략을 매우 우려하면서 방어전략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우선은 미국 채널에 맞설 캐나다 채널을 수십개 띄울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을하고 있다.
-다채널 시대라고 해서 무작정 채널수만 늘리면 대외경쟁력을 잃은 {난쟁이 채널}만 양산하는 것은 아닌가. 차라리 국제경쟁력을 가진 소수의 채널을육성하는것이 효율적인 정책 아닐까.
*정책적 판단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미국정부와 같이 캐나다정부는 경쟁원칙을 선호하기 때문에 먼저 되도록 많은 채널이 상호 경쟁하도록해서 그 과정에서 약한 채널은 망하고 강력한 채널만을 남게 만드는 정책을구사하고 있다. 불필요하게 과다한 채널이 양산되는 것이 뉴미디어 시대의모순으로 지적되고 있다.한국 정부는 이점을 감안해 적절한 수의 채널을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캐나다에서 공중파TV와 케이블TV의 관계는 어떤가.
*매우 불편한 관계다. 케이블TV 가입률이 70%를 넘어서면서 공중파TV를 시청하는 사람들은 반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정부는 국가적인 정체성 유지를 위해기존의 공중파방송의 생존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