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개막돼 13일 폐막을 앞둔 {제1회 부산국제컴퓨터/소프트웨어 전시회}(SEK-PUSAN 94)와 {제1회 부산국제멀티미디어 전시회}(MULTEX 94)는 지방 최초의 컴퓨터 관련 대규모 전시회라는 점에서 시민들과 관련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컴퓨터로 상징되는 정보산업 분야의 수도권 편중과 지방의 낙후성은 어제오늘의 지적사항이 아니다. 여지껏 지방에선 변변한 컴퓨터 관련 행사가 전무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이 전시회는 내용면의 성공 여부를 떠나서 획기적인 행사로 평가되어야 한다.
부산 수영만에 위치한 9백80평 규모 부산국제무역전시관에서 열린 이번 전시회는 두개의 이름을 달고있지만 사실상 하나로 통합된 단일 행사였다.81개의 업체가 참가해 펜티엄PC, 유닉스 워크스테이션, 멀티미디어PC, 문자 및음성인식프로그램, 광통신시스템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3백여점을 선보였다.
이 행사는 컴퓨터에 관한 영남권 시민들의 열기가 서울에 못지 않다는 점을 확인케 했다. 주최 측이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관람인파로 즐거운 비명을지를 정도로 전시회는 성황을 이뤘다. 관람객들은 매스컴을 통해서만 접하던 컴퓨터 관련 신제품에 대한 호기심을 풀고 컴퓨터 산업의 숨가쁜 변화의조류를 직접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에대해 [영남권 컴퓨터 시장이 대규모 전시회를 치러낼만큼 규모가 커졌다는 사실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주최측도 이번 행사가 그동안 서울 등 수도권과 극심한 편차를 보여왔던 지방의정보산업 발전에 획기적 계기가 됐다고 자평하는 분위기다.그러나 규모나 내용면에선 개최지가 지방이라는 한계를 벗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우선 다른 국제 규모 전시회에 비해 규모에서 열세였다. 출품업체의 절반 가량인 38개가 부산 및 영남권에 연고를 두었으며 서울 업체도 대부분 부산의 대리점을 통해 참여했다.
눈길을 확 끌만큼 획기적인 성능을 갖거나 최초로 공개되는 출품작이 없었고일부 업체들이 전시회에 편승해 자사 제품판매에만 급급한 인상을 보이기도했다. 또 외국업체의 경우 한국내 대리점을 통한 간접 참여에 그쳐 국제대회라는 이름을 달기에는 무리가 없지 않았다.
첫 행사인 탓인지 진행에 매끄럽지 못한 부분도 눈에 띄었다. 부스등 시설이관람객의 편의를 제대로 고려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특히 냉방과 환기시설이 제대로 안돼 관람객들과 참가업체 모두 찜통더위 고생을 했다. 이를두고 한 참가업자는 [주최측과 부산시 당국의 협조가 원활히 이뤄지지 못한탓]이라 꼬집었다.
한편 이 행사는 앞으로 매년 열리게 된다. 주최측은 이 행사가 해를 거듭하게 되면 부산 마산 울산 등 경남권이 첨단 정보 산업 분야에서 확실한 지역산업벨트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있다. 그러나 전시회 기간중 내내 아쉬웠던 것은 이번 행사가 영남권을 아우른다는 주최측의 취지와는 달리 대구경북 업체의 참여가 없었으며 앞으로 이같은 행사가 대구.경북에서 열릴 전망이 극히 희박하다는 사실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