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정계 내무.정무장관 밑에 민주계 차관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지난 23일 전면개각에 이어 26일 차관급인사가 단행됨에 따라 연말인사태풍의 큰 줄기는 매듭지어졌다.그러나 이번 차관인사의 결과를 놓고 볼때 당초 23일의 개각발표때와는 새롭게 의미가 새겨지는 부분이 있어 주목을 끌고있다. 민정계 중진의원으로 입각한 김용태내무장관, 김윤환정무1장관자리{뒤편}에 각각 김영삼대통령의 직계라인으로 분류될수있는 김무성청와대사정비서관과 류광언신문로포럼공동대표를 임명한것.

당초 두 김장관의 입각당시에는 {민정계끌어안기} 특히 {TK정서달래기}로 해석되는 측면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지만 차관인사가 유독 이 두자리에서만은특이하게 이루어지자 설왕설래가 많으며 특히 장관이 당정간, 여야간 교통정리를 맡아 북치고 장구치게되는 정무1장관직과는 달리 내무부쪽을 두고는 더욱 말들이 많다.

우선 견제설이다. 내년 6월27일의 지자제선거를 앞두고 그 역할이 막대한 내무부 수장자리에 신민주계라는 김장관을 임명했지만 민정계출신이라는 태생적인 한계를 지닌 그에게만 의존하기에는 미덥지않았다는 것이다. 다음은 보완설이다. 민정-민주계, 그리고 TK와 김대통령의 경남중 후배인 PK인사라는 구도를 통해 민정, 민주계단합, TK와 PK의 대동단합을 과시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자제선거에서 호남을 포기하려는 포석이라는 23일의 개각당시 나돌아 말들이 더욱 설득력을 갖고 있는 대목이기도하다.

어쨌든 이같은 설들을 바탕으로한 내무부관료들의 시각은 상당히 우려하고있는 쪽으로 기울어지고 있다.

이들은 당초 내무장관에 정치권인물이 기용됨에 따라 차관은 당연히 정통내무관료출신이 기용될 것으로 봤고 따라서 최소한 이효계차관이 유임될 것으로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지자제선거가 불과 6개월 앞으로 다가온 중요한 시점인데다 복잡미묘한 내무행정의 속성상 장.차관을 모두 비관료출신에게맡긴다는 것이 상식적으로 있을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결국 이같은 인사는 행정의 일관성유지, 내부승진좌절에 따른 내무부공원의사기저하등을 고려하지않은 낙제점인사라는 것이 이들의 생각이다.내무부의 한 관계자는 같은 정치권인사이면서도 민정-민주라는 이질적 속성을 가진 장.차관을 임명한 이유가 뭐냐며 불만을 터뜨렸다. 이들이 임기기간내내 갈등에 따른 편가르기에 시달릴 것이 아니냐는 것을 벌써부터 걱정하고있는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