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 기구및 직제가 타시도에 비해 규모면에서 크게 뒤져 국가 예산 지원등에서 불리한 대우를 받고 있으며 지역발전에도 장애를 초래, 대책마련이시급하다는 지적이다.경북도는 현재 7개 국(局)편제로 경남에 비해 2개 전남.강원도에 비해 1개국이 적으며 제주.충북등과 함께 전국 최소 규모다.
여기다 시군 통합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10개 군이 없어지는 바람에 시.군숫자가 23개로 줄어들어경기 42개, 경남 27개보다 적어 졌으며 지자제 실시이후 국가 예산 지원등에서 큰 손실을 입게 됐다.
특히 국(局)T0가 늘어나지 않는 바람에 고위급 인사적체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위인설관식 과.계신설로 부서간 업무 조정등이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 산림면적이 전국 시도중 최대지만 산림국이 없어 농정국이 턱없이 비대해져 있으며 세계적 관광도시로 알려진 경주시를 비롯 문화.관광자원이 타시도에비해 압도적으로 많은데도 문화관광국이 따로 없어 성격이 판이한 지역경제국에서 이 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일선 시군 관계자들은 경북이 기구.직제의 열세로 앞으로 지자제가 본격 실시될 경우 타시도에 비해 국고보조금 확보등에서 크게 불리할 것이라며 2개국 신설등 재정비작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경북도 기구가 타시도에 비해 규모가 적은 것은 전임 도지사들이 자신의 입지등을 감안, 기구 확대등에 소극적으로 대처한데다 정부 방침에무비판적으로 동조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邊齊雨기자〉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李 대통령 "韓日, 이웃임을 부정도, 협력의 손 놓을수도 없어"
'연일 한복' 김혜경 여사, 경주 산책하며 시민들과 '찰칵'
한중 정상회담 호혜적 협력관계 증진 공감대 이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