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동부, 공단지역 여성인력 실태조사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공단 및 배후지역의 비취업 여성중 대다수가 취업의사를 갖고 일자리를 찾고 있으며 고용형태로는 시간제근무를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같은 사실은 노동부가 최근 반월,남동,구미,청주,하남등 전국 5개 공단과 인천,안산,구미등 그 배후지역에 있는 6백68개 업체,6천1백43명의 남녀근로자와 비취업 여성 3천3백81명을 대상으로 조사,17일 발표한 '공단지역여성인력 실태조사'에서 밝혀졌다.조사결과 비취업여성의 84.4%는 윤택한 생활(48.2%),여가활용(21.9%),사회적 인정(12.1%) 등을 위해 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나 '육아및 가사와 병행 곤란'(49.5%), '적성과 능력에 맞지 않아서'(17%), '근무시간이 맞지 않아서'(15.2%), '임금수준 불만족'(11.6%) 등의 이유로 일자리를 갖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비취업 여성이 원하는근무형태로는 시간제 근무(55.6%)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그다음은 전일근무(19.5%),자영업(15.5%) 순이었으며 시간제 근무를 원하는 이유는 가사및 육아 용이(45.4%), 근무외 시간활용가능(44.2%)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반해 취업여성들의 경우 83.3%가 상용직이고 시간제및 임시.일용직은각각11.1%와 2.7%에 불과, 대부분이 희망하지 않는 근무형태로 일하고 있는것으로 조사됐다.

또 비취업 여성의 80.5%가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정보 부재'(29.5%) '사후 취업불투명'(20.4%) '교육받을 시간 부재'(19.8%) 등의 이유로 취업을 위한 교육이나 훈련을 전혀 받지 못했다고 응답,여성에 대한 직업훈련 활성화도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성인력 고용촉진을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을 묻는 질문에는 39.4%가 보육시설구비및 확충을 꼽았고 재택근무등 탄력적 근무제도(22.3%)나 임금.근로조건 개선(17.7%)과 같은 정책개선을 원하는 경우도 상당수에 달했다.한편 인력난을 호소한조사대상 업체(전체의 68.2%)중 여성인력활용을 통해 인력난을 극복하겠다고 응답한 경우는 9.8%에 불과하고 주로 공장자동화(59.3%), 근무시간연장(17.4%), 중.고령인력 활용(10%)등에서 타개책을 찾고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보였다.

여성기능 인력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는 47.2%가 '만족 또는 매우만족한다', 45.4%가 '그저그렇다'고 응답한 반면 '불만족 또는 매우 불만족'으로 답한 경우는 7.4%에 불과,생산직 여성근로자에 대한 만족도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