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6공 비자금'- 숨긴돈 더 없을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신한은행에 노태우 전대통령의 비자금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데 이어 상업은행과 제일은행, 동화은행에도 거액이 은닉돼 있다는 주장이 계속 제기돼이 돈이 어떤 형태로 잠복해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이는 노 전대통령의 비자금 실체가 드러났고 이 자금이 당초 소문으로 나돌던 4천억원중 일부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더욱 흥미를 끌고있다.물론 관련 은행에서는 해당지점의 총 수신액이 은닉됐을 것으로 추정되는비자금보다 적다는 점 등을 들어 일부 야당의원들의 주장처럼 영업점에 비자금이 추가로 은닉됐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노 전대통령의 비자금 실체를 밝힌 이현우 전 경호실장이 상업은행의 효자동지점에서 청와대 자금을 취급했고 통치자금중 일부가 이 곳에 예치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 비자금이 상식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형태로 금융기관에 은닉돼 있는것이 아닌가 하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이와 관련,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은 역시 상업은행 효자동지점이다.이 영업점은 청와대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어 청와대 자금을 취급하는 곳으로 알려져 왔는데 노 전대통령의 비자금 의혹사건을 처음 터트린민주당 박계동의원도 4천억원이 처음에 이 지점에 예치돼 있다가 빠져 나갔다고 주장했다.

상업은행은 이에 대해 효자동지점의 수신액 평잔은 6백억원대로 지난 92년이후 수신 증감이 큰 폭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박의원의 주장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금융계에서는 그러나 비자금의 모계좌가 상업은행 효자동 지점에 있지 않고 본점 영업부나 그 이외의 다른 대형 지점으로 돼 있을 경우 비자금이 효자동지점에 입금됐더라도 해당 계좌가 개설되어 있는 영업점의 수신실적으로잡히기 때문에 효자동지점이 중간 매개역할만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즉, 청와대의 비자금 4천억원이 효자동 지점에 입금됐더라도 이 자금이 계좌가 개설되어 있는 본점 영업부 등으로 그대로 흘러가 효자동지점의 수신증감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것이다.

상업은행은 이에 대해 영업점의 여수신 금액이 2천만원 이상일 때는 2명의책임자를 거치도록 하고 있는 이중 결재제도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4천억원이 효자동지점을 거쳐 본점으로 입금됐다면 입금전표를 확인하면 된다고 밝히고 있다.

금융계에서는 이와 함께 가능성이 희박하기는 하나 최악의 경우 은행이 비자금을 수기통장이나 별단예금으로 받아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지적하고 있다.

왜냐 하면 수기통장 발행이나 별단예금 횡령과 같은 금융사고가 그동안 발생한 사례가 있기 때문에 이같은 금융관행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았을 것으로보고 있기때문이다.

수기통장은 영업점에서 자금을 받은 뒤 이를 전산처리된 통장이 아닌 은행장 등의 사인을 넣은 통장을 발행해 주는 것으로 지난 79년부터 83년까지 상업은행 혜화동지점 대리였던 김동겸씨가 이를 통해 사채자금을 조성, 명성그룹에 중개하는 과정에서 1천93억원에 달하는 금융사고를 냈다.이에 대해서도 은행권에서는 현재 금융관행상 수기통장을 발행한다는 것은있을수 없고 별단예금도 발행수표가 돌아다닐 수 밖에 없으며 무엇보다도 수기통장이나 별단예금으로 들어 온 자금도 회계처리가 되기 때문에 이같은 형태로 비자금이 은닉될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하고 있다.

금융계에서는 그러나 신한은행에 이어 제일은행 석관동지점도 수신고가 4백억원인데도 비자금 3백억원이 들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 수신고가적다는 이유만으로 비자금이 은닉되어 있지 않다는 논리는 점차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더욱이 금융계에서는 신한은행과 제일은행 석관동지점 이외에 일부 시중은행 본점 및 영업점, 단기금융회사 등에 수백억원씩의 비자금이 숨어 있다는설이 나돌고있어 사실여부와 함께 이 자금이 어떤 형태로 묻혀 있을지에 대해 궁금해 하고있다.

금융계 관계자는 "은행권에 노 전대통령의 비자금이 더 남아 있다면 신한은행서소문지점처럼 차명계좌로 예치됐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며"그러나 이같은 형태가 아닐 경우 금융 관행상 납득하기 어려운 편법이 동원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