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교운영위 조기 정착위해

학교운영위원회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교자치기구 조직체로 제도화돼야하며 운영에 자율성을 가지고 학교, 학부모, 지역사회, 국가로부터 신뢰를 받고 책무성을 다할수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이같은 주장은 5.31교육개혁의 핵심인 학교운영위원회가 현재 전국의 초중고교에서 시범실시중인데다 96학년도부터 확대적용될 계획으로있어 관심이모아지고있다.

김홍원 대구시교육청 부교육감은 25일 계명대 교육대학원 교육행정동문회주최로 대구교육과학연구원에서 열린 '학교운영위원회의 발전방향' 주제 학술발표회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하고 학교운영위원회의 바람직한참여방안을 제시했다.

김부교육감은 학교사회가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해 많은 사람을 동시에교육시키는 양적성장에는 성공했으나 개인차를 고려한 적성과 능력을 개발하는 질적 관점에서는 아직 미흡하다"고 밝히고 또 "육성회나 어머니회, 동창회등이 학교운영을 지원해왔으나 보수지향의 교사중심 조직인 학교사회는 자체변화가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고 학교운영위원회의 배경을 설명했다.김부교육감은 특히 학교운영위원들이 무보수 명예직임을 강조하고 이들의헌신적인 봉사정신이 있어야 학교교육에 관심을 갖고 참여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 개인적인 관심보다 학교교육 전체를 생각하는 안목과 비교육적폐단에 대한 분별력을 강조했다.

또 학교운영위원회는 심의기구이며 학교운영의지원자이므로 학교교육의내용과 방법에 있어서는교사의 권위를 지켜주어야 하며 학교교육의 최후의감시자 역할을 해야한다고 김부교육감은 강조했다. 〈이경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