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政府 "외교마찰" 고려 軍事측면 배제

"日 77년후 領海.空 33회 침범"

속보=독도의 군사,경제적인 중요성을 일깨우고 우리국토임을 분명히하는 가시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독도에 대한 경비를 대폭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찰관계자들에 의하면 정부가 독도경비를 일본과의 외교적 마찰을 피한다는명분으로 군사적인 측면은 배제한채 치안상황 차원에서 경찰에 맡겼다는 것이다.

이들은 현재의 경찰 병력과 장비로는 일본인들의 시위등 우발적인 사태에 전혀대처하지 못한다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군(軍)이 독도경계근무를 맡아야 한다고주장하고 있다.

울릉군 주민들도 독도가 휴전선에서 불과 1백18㎞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데다인근 해역이 어업의 전초기지인 만큼 군이 경계를 맡아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있다.

실제 경찰집계에 따르면 독도는 지난 77년~95년 사이 무려 33차례에 걸쳐 일본등으로부터 영,해공 침범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실정에도 불구, 정부는 독도경비를 재래식무기로 무장한 26명(92년까지는 12명)의 울릉경찰서 독도경비대에 맡겨 국방업무가 소홀하다는 지적이다.

독도경비대는 헬기장을 마련해 놓고도 자체 헬기가 없어 병력과 보급물자등 수송업무를 해경에 의존하고 있으며 경북도와 경북지방경찰청이 보유하고 있는헬기도 부양장치가 없어 해상에서는 비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울릉도출신의 김모씨(31.대구시수성구시지동)는 독도의용수비대등 민간인들이목숨을 걸고 지켜낸 독도경비를 등한시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며 정부는 독도경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경북지방경찰청 김순태경비과장은 독도 경비강화책을 마련,상부에 보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金敎盛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