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정보화산업은 어디까지 와 있는가.중국에서는 대외개방과 시장경제가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정보화산업도 새로운제4차산업이 되고 있다. 중국에는 정보화산업발전의 큰 잠재력과 시장이 있지만 중국정보화산업은 세계각국의 평균수준으로볼때 크게 뒤떨어졌다고 한다.
지난91년 세계 정보서비스의 생산액은 2천30억달러에 달했지만 중국은 겨우 수십억원에 지나지 않았다.
또다른 통계에 의하면 중국GNP의 1백원에 해당하는 정보함유량은 세계평균수
준의 10분의1에 지나지 않고 정보처리의 90%%는 아직 전자화를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때문에 중국에서는 정보산업을 크게 발전시키는 것이 당면과제로 되고 있다.90년대에 들어 중국은 정보산업발전의 환경구축에 착수했고 93년 9월, 중국의그룹와이어 공중데이타 교환네트워크 제1기 용량증가 프로젝트를 완공했다.
현재 이미 국내 2백67개도시를 커버하고 세계 20개국 37개그룹와이어 교환네트워크와 온라인이 연결되고 있다. 전국21개 省.直轄市와 통하는 전국 고속 디지털데이터 간선네트워크 제1기 프로젝트도 94년 7월 운영이 시작됐다. 그해 3월북경에서는 국내통신, 컴퓨터, 오토메이션, 전자학과의 전문가들이 모여 제1단계로 2000년까지 국가고속정보네트워크맥을 구축하고 제2단계는 2020년까지 전국을 커버하는 국가고속정보 네트워크를 기본적으로 완성키로 했다. 제9차 5개년기간에는 중국전역을 광케이블네트워크로 한다는 것이다.
중국정부는 이기간에 金橋 프로젝트, 대외무역기업의 정보시스템을 네트워크화시키는 金關 프로젝트, 전자통화시대의 중요한 구성분으로서 크레디트카드를지불수단으로한 金카드 프로젝트등 현대화한 정보기술수단으로 세금징수 관리활동을 강화 개선하는 정보시스템의 金稅 프로젝트를 포함시키고 있다. 이밖에 중국은 인터넷발전의 초기단계로 우선 세계각국과 온라인으로 연결하고 그리고 나서 국내의 네트워크를 건설해왔다. 지난95년 6월에는 우편전신부가 운영하는 중국국내를 겨냥한 차이나네트워크가 개통됐다.
중국대륙의 모든 省.直轄市.自治區와는 온라인으로 연결하고 세계 다른 지역의네트워크와 온라인이 연결하는 3개의 고속국제회선을 전국에 제공하고 있다.또한 국가교육위가 지난94년 개통한 중국교육과 연구네트는 2000년까지 중국내1천90개대학과 20만개의 초.중등교를 온라인으로 연결시킬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