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국내 쌀재고가 크게 줄고있는 가운데 경북도와 일선시군이 농민들의 퇴비증산을 유도하기위한 시상금제도마저 없애 쌀전용농지가 척박해지는등 지력이 약화되고 있어 쌀증산시책에 역행한다는 지적이다.
도는 지난해까지 지력증진사업의 일환으로 여름퇴비증산을 추진해 실적이 좋은 우수시군과 마을에 시상금명목으로 매년 총1억1천여만원을 집행했으나 금년은 도의회서 이 예산이 부결돼 이 사업추진이 불가능해졌다는 것.
고령군에서도 도와 병행해 퇴비증산시책을 벌여오다 농촌의 인력난과 고령화추세로 산과 들에서풀을 베어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던 풍토가 사라지자 93년부터 시상금제도를 없애 버렸다는 것.이때문에 농토에 대한 영양공급을 주로 화학비료에 의존하고 있고 다소 경제력이 있는 농가는 축산부산물인 유기물퇴비를 대신 쓰고있어 토양이 척박해지고 있다.
고령군농촌지도소에 의하면 퇴비를 쓰지않게 되면서 미작전용농지 토양이 적정산도 6~6.5보다 떨어진 5.8로 산성화가 심하고 유기물의 함량도 적정선인 3%보다 훨씬 떨어진 1.9%%에 그치는등 장기적인 토양환경조건이 나빠지고 있다는 것.
전문가들은 화학비료나 유기질퇴비는 옛날 퇴비보다 못해 지력약화로 벼의 수량감소가 우려된다면서 장기적으로 주곡의 자급자족을 위한 퇴비증산시책에 중점을 둬야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