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이젠 전국민이 省察할 때

9일동안 온나라를 들쑤셔 놓은 연세대구내의 한총련사태가 경찰의 진압으로 일단락 됐다. 학생.경찰등 수백명의 부상자들은 생겼지만 큰 사고없이 마무리된건불행중 다행이다. 그러나 이번 한총련사태는 비록 인적.물적.정신적 피해를 줬지만 잠자고 있던 정부.대학.국민 모두에게 우리들의 대북(對北)자세를 새롭게 가다듬는 반성의 계기와 큰 교훈을 일깨워 준 결과를 안겨줬다.

이번 사건의 이같은 배경을 감안할때 한총련 지도부의 친북(親北) 이적성이나이에 오염돼 동조한 일부 운동권대학생들에 대한 선도와 이의 확산방지 문제는지금부터 우리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새겨봐야 한다.

첫째, 이번 사태로 한총련 지도부의 좌경실상은 더이상 손쓸수 없을 정도로 적색(赤色)으로 물들어 있다는 점을 확인했고 이들을 학생으로만 동정할수 없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경찰은 지속적이고 끈질긴 집념으로 이를 발본색원, 이 사회에서 영원히 추방해야 할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연행된 학생들중 주동자들을 색출해 그 배후세력과 그들의 자금원을 철저히 추적, 한점의 오염원도 남기지 말아야 할것이다. 이 과정에서 이번사태로 연행된 5천6백여명중 권유에 못이겨 가담한 학생들은 학교로 복귀토록 해야겠지만 단순가담 으로 위장한 주동자는 한명이라도 놓치지 말아야 할것이다.

둘째, 이번으로 6번째인 통일소동 이 이같은 사태로 되기까지 확산시킨건 일차적으로 경찰의 정보력 부재와 학생운동에 대한 개념정립 불충분에 의한 방관에있다고 분석됨에 따라 그 책임을 통감해야 할 것이다. 이에 덧붙여 정부당국의책임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 과거 운동권 출신들이 제도권으로 기용되는 한편 대북(對北)정책이 일관성 없이 남발되는 바람에 정부당국자들도 이에대한 확실한 개념설정이 안된 것처럼 국민들에게 내비친 그 틈새로 주사파(主思派)들이 학생회를 장악, 준동하게 만든 원인(遠因)이 됐다는일부 지적을 깊이 새겨 대오각성해야 할 것이다. 이에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대한 확고부동한 철학과 분별없는 세간의 통일논의에 대한 정책이 일관성 있게정립돼야만 좌경세력의 척결이 가능하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당국으로 일컬어지는 교수들이 이번 사태에서 구경꾼 으로 침묵, 방관하고 대학캠퍼스가 한총련 지도부의 사무실이나 은신처로 제공되는 이상 이번 사태의 재발은 물론 선량한 학생들의 이념의 오염 을 막을수 없을 것이다.그렇다면 대학당국이 앞으로 어떻게 처신해야하는지는 이젠 그들이 고민하고심사숙고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스승 과 지식전달자 는 엄연히 구별돼야 함도 잊지 말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치인들도 이 난국에 대권운운(云云)에다 선거비용문제에 얽매여나라의 젊은이들이 어떻게 되든 나몰라하는 방관은 직무유기요 국민들이 그들을 용납할 것인지 그 선후(先後)를 생각해야 할 것이다. 덧붙여 대학에만 보내면 그만이라는 학부모들의 사고의 일대전환과 자녀에 대한 관심, 대화 설득의노력도 절실한 때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