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대선논의가 야권을 중심으로 본격궤도에 오르면서 정치권이 대선후보문제로 술렁이고 있다. 야권은 DJ, JP후보단일화를 위한 갖가지 방안들에 대한 협의를 시작한 인상이고 여권도 후보가시화시기를 둘러싼 주장들이 다양하게 제기되고있다.
야권의 후보단일화를 위한 협상이 물밑에서 차근차근하게 이뤄지고 있는가운데 여권은 후보가시화 시기문제가 또다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어 귀추가 주목.
최근 여권핵심부내에서는 신한국당의 전당대회를 내년 9월중순쯤 개최하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 방안은 대통령 선거운동의 최소 기간인 3개월을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권력누수를 방지하는 마지노시한이다. 이는 여권핵심부의 정권 레임덕예방에 대한 의지를 시사하는 단적인 징표로 보인다.
물론 당헌69조에도 신한국당의 대선후보는 대통령 임기만료 90일전까지 선출토록 되어있어 전대9월개최안 은 철저히 당헌에 따르고 있기때문에 하자는 없다.
전대시기와 관련, 이홍구대표는 이미 전대 7, 8월개최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는데 여권핵심부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9월개최 입장은 더 늦춰지는 셈이다.
현재 대선논의 시작시기와 후보가시화시기, 전당대회의 후보결정시기의 용어차이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있어 다소 혼선이 있기는 하지만 여권핵심부의 입장은 어쨌든 대선후보들의 본격경쟁을 최대한 미루도록 하자는 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문제는 대선주자들이 과연 이를 수용할지 여부다. 이회창고문과 김윤환고문은 조기가시화쪽에 무게를 두고 있으며 박찬종상임고문은 내년초부터 본격적인 경선득표전에 나설 뜻을 내 비치고 있다.
또 하나의 변수는 역시 야당의 동태다. 야권의 후보단일화와 대선후보 결정시기가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DJ와 JP가 후보단일화에 성공하면 대중성이 취약한 민주계후보들은 급격히 쇠약해질수밖에 없으며 야권의 대권후보결정시기가 앞당겨지는 정국상황이 벌어지면 여권도 함께 빨려 들어갈 공산이 크기때문이다.
이와 관련 최근 여당내에서는 DJ와 JP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민주계측은 이념의차이나 충청및 TK지역의 반응을 고려하면 대선공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비해 비민주계는 실제상황이 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여당은 매우 힘든 싸움을 해야 할 지도 모른다는관측을 내놓고 있다.
20일 열린 정형근위원장주재의 정세분석위회의에서도 이문제가 깊이 있게 논의됐는데 야당의 움직임이 여권내 대선주자들의 행보를 촉발시킬 우려도 나왔다.
특히 강삼재사무총장은 얼마전 대선기획회의에서 현재 우리당에서 어느후보가 나와도 이길수 있다는 낙관이 팽배해 있다 고 질책한뒤 DJ는 4수생이기때문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을 것 이라며 야권움직임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