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랜 전통의 향내를 풍기며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우리의 옛 집들.
일주문에서 대웅전까지, 대문에서 안채까지 양파껍질을 벗겨가듯 아흔아홉칸 쉬엄쉬엄 문을 들어설 때마다 새롭게 모습을 드러내는 고색창연한 공간들엔 외양만을 중시하는 서구 건축의 즉물성과는 판이한 깊이, 곧 철학이 담겨 있다.
"절집이든 고옥(古屋)이든 건물안 툇마루에 앉아 밖을 한번만 내다보면 자연경관과 환경의 일부로 조화롭게 놓여져있는 고건축의 멋과 진면목을 알 수 있습니다"
자료집 발간을 목표로 15년째 옛 집들을 향해 셔터를 눌러온 장석하(張錫河·45·경일대 건축공학과)교수의 말처럼 우리의 옛 집은 단순히 '보여지는' 시각적 존재를 넘어선 당당한 문화유산, '체득해야 할' 대상이다.
유난스레 집에 대한 소유욕과 애착이 강한, 그러면서도 어쩌다 찾은 고옥과 고찰 앞에서 기념사진 찍기 무섭게 등돌려버리곤 하던 무심함을 버리고 새해엔 옛 선조들의 집에 우리의 문패를 들고 뚜벅뚜벅 걸음을 옮겨봄이 어떨까.
〈金辰洙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