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긴급 안보 치안 장관회의

정부가 김정일의 처조카 이한영씨 피습과 황장엽(黃長燁)비서 망명 사건을 계기로 극히 불안정한한반도정세에 대한 총력대응체제 구축에 나섰다.

정부는 이씨사건의 '심각성'을 인식, 16일오후 이수성(李壽成)총리 주재로 안보·치안관계장관회의를 긴급 소집, 안보·치안 대책을 논의한데이어 권오기(權五琦)통일부총리 주재로 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를 다시 여는등 외교·안보 분야에 걸쳐 '전방위(全方位)' 대책을 마련했다.이날 긴급 안보·치안관계 장관회의는 그 대책은 물론, 개최 시기와 배경, 참석자 면면에서 정부가 최근 일련의 사태에 '비상한 각오'로 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참석자들은 회의에서 황비서 망명을 북한권부(權府) 붕괴의 서막으로, 이씨 사건을 그에 반발하는침투공작원에 의한 암살기도사건으로 각각 분석했다.

특히 이씨 사건은 북한 귀순자에 대해 국내에서 발생한 '첫 테러'인데다 황비서망명요청 이후 북한이 계속 대남(對南)보복을 공언해왔다는 점에서 그동안 단순한 협박을 넘어서 북한이 이를 구체적 실행으로 옮기고 있는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이같은 사태의 중대성을 감안, 정부는 이날오후 '황비서 망명 장기화'에 대비한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었던 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를 즉각 안보·치안장관회의로 격상시켰다.

이날 긴급회의후 정부는 대북(對北)경계 강화와 테러방지 방침을 발표했다.

정부는 보복·테러에 대비한 주요 관공서와 해외공관에 대한 방호(防護)강화와 요인 및 주요 귀순자, 해외교민, 상사원, 유학생 등에 대한 경호 및 신변보호 강화, 공항·항만 검색강화, 조속한범인 검거 등에 총력을 기울여 나가기로 했다.

이어 정부는 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외교·통일·안보 문제를 협의했다.이 조정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북한의 비무장지대 및 해상무력시위, 국지전 도발가능성에 대비한대북경계령 강화와 국민의 대북안보의식을 제고해 나가기로 했다.

그리고 정부는 황비서 사건직후 재외공관에 내린 경비강화 훈령에 대한 주요 공관별 후속조치 내용을 점검하는등 재외공관 경비강화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통일·안보관련 장관들은 또 이날오전 귀국한 유종하(柳宗夏)외무장관으로부터 싱가포르 한중·한일외무장관회담 결과를 보고받고 조속한 '서울행'을 위해 외교력을 집중키로 했다. 특히 오는22일 방한하는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국무장관과의 회담을 통해 미국의 적극적인 중재역할을 당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조정회의에서 참석자들은 특히 북한의 붕괴위기가 본격화되고 있고 대남보복위협도 현실화되고 있는 만큼 기존 대북정책의 전면 재검토 문제를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이와 함께 22일로 예정된 경수로부지조사단 파북문제와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식량지원 문제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돼 주목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