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망간중독자 용양승인 소극적

"중환자 양산우려"

지난해 연말 포항서 국내 처음으로 용접사 망간중독 사실이 밝혀진후 중독자는 계속 늘고 있으나이들에 대한 노동부의 대처는 소극적이어서 중환자 양산(量産) 우려를 낳고 있다.망간중독 용접사는 지난해 12월 하순 3명의 중독자가 발생한 이후 1월중순에 14명이 추가발생했으며 포항지방노동사무소가 업체에 지시해 실시한 임시검진에서 10명이 확인되는등 3개월여만에포항에서만 27명이 중독자로 밝혀졌다.

그러나 노동부 산하 산업보건연구원은 지난달말 열린 망간중독자 업무상 질병여부 판단심의에서경남 진주 출신의 강모씨(35) 한사람만을 산재환자로 인정하고 나머지 중독자에 대해서는 △망간피폭 사실은 인정되지만 파킨슨씨병등 합병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뇌에 축적된 망간성분과 신체특이사항간 인과관계 규명이 불투명하다는등 이유를 들어 요양신청을 불허했다.이에대해 용접사들과 노동단체에서는 "노동부의 판단은 망간중독에 대한 소극적인 입장에서 비롯된 것으로 요양승인을 받은 강씨도 불과 1년전에는 현재 단순 중독증세를 보이는 이들과 다를바없었다"며 "난치성 파킨슨씨병 환자 양산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중독자들에게 요양승인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민주노총과 금속연맹·건설노조등 관련 노동단체들은 조만간 노동부에 추가로 산재요양승인신청을 내고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행정소송등 법적 대응을 한다는 방침을 정해놓고 있다.한편 의학계에서는 최근 밝혀진 망간중독자들의 경우 파킨슨씨병으로 전이될 확률이 극히 미약하다는 의견과 조기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양론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朴靖出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