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전부터 출퇴근을 포함해서 웬만한 거리는 자전거를 이용하고 있다. 그래서 외국을 돌아볼 때도 그 나라의 자전거활용은 관심깊게 보았다. 그 중에서도 중국의 자전거 출퇴근이 가장 인상에남는다. 자전거 행렬이 마치 우리나라의 자동차행렬과 같았다. 그들은 직장 출퇴근은 물론 거리어디서나 자전거는 생활필수품이며 어린이부터 할머니까지 이용하고 있었다.
사실 자전거타기는 도시교통난 해결방안과 에너지절약책의 하나로 세계적으로 장려되는 추세이다. 우리보다 잘 사는 일본이나 네덜란드에서도 '자전거로 역까지, 철도로 직장까지'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도 경찰관이 교통체증이 심한 도심을 순찰할 때는자전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는 자전거타기가 학생층이나 일부 사람들의 취미생활수단으로 한정되고 있다. 이처럼 자전거타기가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달릴 수있는 자전거도로가 없고, 현재여건에서는 사고위험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최근 교통개발연구원의조사에 따르면 35%%가 교통사고 불안감때문에 자전거타기를 꺼리고 있으며, 자건거 전용도로만정비되면 77%%가 자동차를 이용않고 자전거를 타겠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우리정부의 자전거타기시책은 오히려 뒷걸음질을 치고 있다. 현재 지방도 군도등에는 인도가 없다. 그런데다 차량증가와 난폭운전 등으로 그동안 자전거로 통학하던 군소도시나 농촌지역 학생들마저 사고위험때문에자전거를 팽개치고 자동차통학을 하는 실정이다. 정부에서는 94년 1백56억원을 자전거도로 공사비에 투자하기도 했고, 서울시가 한강변에 자전거도로를 만들기도 했다. 그러나 실생활에 필요한도심지에서는 자전거도로를 설치할 엄두조차 못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래서는 안된다. 정부는 자전거전용도로나 주차시설을 만들어 나가는데 자동차 못지않게 투자를 해야한다.우리보다 선진국이나 후진국에서도 자전거를 에너지절약과 도시교통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시행하고 있음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김두겸(대구시 남구 대명10동)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