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술에 대한 편견

술에 대해 우리사회가 보는 시각은 외국에 비해 아주 관대하고 허용적이다. 심해야 '술취한 인간'이라 할뿐 그 사람 본연의 자세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는 것이 관례다. 고작해야 술주정이 좀 나쁘다고 할 뿐이다.

그런데 우리사회가 갖는 술에 대한 편견중 잘못된 것은 술을 잘 마시는 것을 큰 사회적 능력처럼여긴다는 것이다. 반면 알코올 중독에 시달리는 사람에게는 차가운 편견을 보인다. 이중의 잣대로술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듯하다.

술을 마신다고 모두가 알코올 중독이 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즐겁게 마시고 적당한선에서 절제를 할 수 있다.

알코올 중독은 술의 종류나 음주기간과는 상관없이 계속적인 음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고 조절능력이 상실된 경우를 말한다. 가족내 스트레스가 남편이나 아내의주량증가로 나타나는 수가 많다. 어렸을때와 현재의 억눌림을 술 힘에 의지해 풀어내려 할 경우중독은 시작되는 것이다. 중독에 일단 접어들면 자신의 불행이 모두 가족 탓이라 돌리면서 폭언과 폭력을 일삼아 이내 가족해체의 위기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아내는 "오늘 남편이 술을 많이 마셨을 뿐이야, 술만 깨면 모든건 다 괜찮아질거야"라는 막연한 기대속에 자신과 가족을 방치하고 있다.

그러나 알코올 중독은 자신과 가족을 파멸로 몰아가는 질병이다. 술에 대한 잘못된 편견에서 벗어나 치료를 주선하는 일이 시급하다. 가족의 파탄은 물론이고 본인, 나아가서는 사회를 위태롭게할 무서운 병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시급하다.

최 정 희〈대구여성의 전화 공동대표〉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