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콘크리트의 사막과 같은 대구의 미래를 위해 지역의 환경 관련 젊은 학자들이 내걸고 있는 화두이다. 계명대 환경공학과 김수봉교수, 경북대 조경학과 나정화교수 등은 대구의 생활환경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녹지공간 조성이 시급하며 이를 가로막는 도시계획 제도의 개선과운영의 효율성을 도모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들은 "도시계획 제도는 개발과 환경을 통합해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칠곡 택지개발등 도시계획사업이 기반, 주거시설 확충과 신규개발사업 위주로 돼 휴식공간이 최소한에 그치는등 녹지공간 조성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토지이용, 환경, 에너지 등이 별도의 계획요소로 인식돼 개발과 환경보호의 균형을 맞추기가 힘든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환경오염관련 정책도 처리시설 위주의 사후대책에 치중할뿐 도시 생태계 회복, 환경의 쾌적성 유지라는 예측가능한 측면을 도외시하고 있다.또 우리나라의 경우 공원과 녹지로 구분, 어린이공원을 놀이시설위주로 설치해 인근 주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없도록 만드는 등 제도적인 허점을 안고 있다. 공원과 녹지구분을 없애고 어린이공원에 녹지를 함께 조성한다면 '동네 공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란 것이 전문가들의의견이다. 도심의 자투리땅, 쓰레기장 등 버려진 땅을 생태공원으로 조성하면 시민들이 쾌적하게공원이용을 할 수 있다. 영국의 런던, 일본 가와사키, 프랑스 파리등 외국의 도시들은 빈 터를 이용한 도심 생태공원 조성, 30%% 녹지조성 정책등으로 쾌적한 녹지환경을 만드는데 성공하고 있다.
김수봉교수팀은 이와 관련, 지난 91년과 96년 두 차례 1천여명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공원녹지 이용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 흥미있는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91년의 경우 거주지에서 떨어진 팔공산, 약수터등 외곽 산지공원 이용률이 25%%였으나 96년에는 차량의 증가에 따라53%%로 증가했으며 거주지 인근에 있는 아파트 공원, 학교 운동장등은 19~20%%에서 6~11%%로 이용률이 떨어졌다.
이는 차량 소유가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시민들이 이동거리에 관계없이 산지공원을 주로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데 차량 배출물질 증가로 인한 대기오염, 이용객 과다로 인한 산지훼손등 부작용을 빚고 있다. 거주지 인근 공원이 잘 조성돼 있다면 교통정체를 무릅쓰고 외곽 공원으로 몰리는 경향을 누그러뜨릴수 있을 것이다.
김교수는 "개발과 환경유지라는 균형적 입장에서 도시계획에 접근해야 시민들이 더 쾌적한 생활을 누릴 수 있고 다른 부작용도 최소화할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金知奭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