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객 감소가 계속되자 고속버스 회사들이 노선을 축소하거나 인력을 감축하는 등 자구 몸부림을치고 있다. 장거리 승객은 항공기나 열차에, 중거리 승객은 자가용에 뺏긴 뒤 최근엔 휴가철인데도 불구하고 승객들로 북적되는 공항.역과는 달리 고속버스 터미널은 한산하다.동대구고속터미널의 하루평균 이용승객은 지난 94년 1만2천여명, 95년 1만1천여명, 96년 1만여명으로 점차 감소해 최근에는 8천여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한진고속 관계자는 "지난해엔 대구-서울 노선에 버스 한대에 평균 15명 정도 탔지만 요즘에는 10명 미만"이라며 "승객이 1~2명일때도 있다"고 했다.
이같은 추세가 계속되자 고속버스 회사들은 하루 1백6회이던 대구-서울 간 운행횟수를 올초부터하루 90회(금.토.일요일 제외)로 줄였다. 또 한진고속은 올해 10여명의 인력을 감축하고 2명의 매표원을 임시 고용직으로 대체했으며 코오롱고속도 이달에 직원 5명을 임시 고용직으로 바꿨다.다른 8개 고속버스 회사들도 정년퇴직 등 인력공백이 생기더라도 충원을 하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대전행 노선의 동양고속터미널과 울산.광주 노선의 금호고속 터미널의 경우 매표원 인력절감을 위해 운영식을 회사별 공동분배로 전환하고 있다.
〈金炳九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