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은 여야(與野), 또는 야야(野野) 후보간 합종연횡 가능성이 그 어느때보다 높게 점쳐지고 있다. 매개체는 권력구조 개편이 될 수도 있고, 사후 권력분점이 될수도 있다.경우에 따라서는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 중첩적인 그림이 그려질 지도 모른다.우선 감안될 수 있는 것이 내각제 개헌을 고리로 한 합종연횡이다.
자민련 김종필(金鍾泌)총재가 상당히 적극적이고, 세불리를 느낀 일부 후보가 이같은 '짝짓기'에가세할 수 있다.
김총재는 이미 '내각제 개헌을 전제로한 대선 연기 방안'을 내놓고 있다. 여권은 '김영삼대통령임기내 개헌불가' 입장을 재확인했지만, 이회창(李會昌)대표의 승산이 희박하다고 판단될 경우 극약 처방으로 전격 수용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있다. 이는 민주당 조순(趙淳)총재의 경우도 예외가 아닐 것으로 보인다.
대선과정에서 보수대연합론이 부상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시나리오로 김종필총재의 경우 여권의이한동(李漢東)의원.이수성(李壽成)고문, 무소속 박태준(朴泰俊)의원 등과 한 살림을 꾸리며 보수층을 기반으로 대선전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다. 이 경우 영남권 연고 인맥의 확보로 상당한 뒷심을 받을 수 있으나, 누가 후보로 나설 지는 조정 과정을 거쳐야한다.
어떤 경우든 이같은 합종연횡은 선거 막판에 극적으로 이뤄질 경우 그 효과가 극대화 된다는 점에서 막판까지 변수가 될수 밖에 없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