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서구를 쪼개 또 하나의 구(區)를 만드는 분구(分區) 문제가 새삼 관심거리로 부상했다. 분구의기준이 50만명이고, 달서구 인구가 최근 50만명을 초과했기 때문.
이와 관련, 대구시는 아직 분구를 요청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또 가까운 장래에 이 문제가 본격적으로 거론되리라고도 보지 않고 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론 새 구청 및 경찰서·소방서 등이 들어설 통합청사 자리를 매입키 위해 준비도 하고 있다.
대구시의 전망은 "워낙 예민한 문제라 행정적으로보다는 정치적으로 판단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쪽. 달서구 외에도 서울의 5~6개, 인천의 한개 등 구(區)가 이미 50만을 넘어섰는데도 아직 분구가 본격 검토되지 않고 있다고도 했다. 또 분구 하려면 새 법률을 만들어야 하고, 대구 경우 달성군 다사~하빈면 등을 새로 만들어질 구에 포함시키는 등 전면적인 손질이 필요해 문제가 더욱복잡하다는 것.
나아가 국회의원 선거구 문제와 행정경비 추가 부담 등 문제도 있어, 아무리 빨라도 12월 대통령선거와 내년 5월 지방선거가 모두 끝나야 얘기라도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그러면서도 대구시는 성서택지에 지정돼 있는 1만여평의 통합청사 자리는 내년에 매입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때문에 내년 시 당초예산에 1백50억원에 이르는 매입비를 편성키로 계획하고 있다.공공청사 부지는 조성 원가에 거래토록 돼 있어 평당 1백47만원 정도씩 지불할 경우, 총 1만5백여평 부지 가격이 그 정도 될 것이라는 계산. 위치는 성서우체국이 있는 곳으로 현재 아파트 모델하우스 부지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대구시는 북구도 장기적으로는 분구될 것으로 보고, 칠곡 3지구에 1만평을 확보해 놨다. 아직 조성공사 중이어서 매입 준비까지는 않고 있다. 북구의 현재 인구는 40만명.그러나 달서구·북구 등은 신주택지로 급성장하면서 인구가 붇고 있으나, 대구 전체 인구는 제자리걸음을 시작, 분구는 또다른 구의 통합을 전제로 추진돼야 행정경비를 줄여 시민 부담을 덜 수있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체 인구가 제자리걸음인데 특정 구 인구만 증가하는 것은 다른 구인구의 감소를 의미하기 때문. 자연히 중구·남구의 통합이 함께 검토돼야 한다는 얘기가 되는셈이다.
〈朴鍾奉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