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섬유업계와 대구경북개발연구원은 섬유구조개선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따라 내달중 구조개선방안 중간보고서가 나오면 섬유단체와 대구경북개발연구원은 대선(大選)후보들과 정부에 '섬유구조개선 특별법' 제정을 건의할 계획이다.
업계에 따르면 11년간 지속돼온 '합리화업종지정'이 오는 연말에 끝나면 섬유산업구조개선사업추진에 근거할 만한 제도적 장치가 없다며 이에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것.또 업계는 불황속에서도 연간 1백20억달러의 무역흑자를 올리는 섬유는 '효자산업'이며 '성장가능 산업'인 만큼 구조개선이라는 자구노력을 촉진할 수 있는 정부의 역할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구조개선방안을 연구중인 대구경북개발연구원 이정인 실장은 "기술개발, 정보화, 인력개발 등 각종 구조개선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공업발전법' 등 기존의 통합법으론 한계가 있다"며"지방자치단체의 조례 보다는 종합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특별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한편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 박용관 회장은 "정부도 업계의 자구적인 구조개선사업 추진을 환영하고 있어 사업방안이 결정나는 대로 대선후보나 정부에 지원책을 건의할 방침이다"고 말했다.〈金敎榮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