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군공사 입찰장 난장판

일선 시·군이 집행하는 소규모 건설공사 공개입찰장이 난장판이다.

지난해 7월이후 건설공사 응찰인 참가자격이 회사법인 이사급에서 소속 직원이면 누구나 가능하게 된데다, 최근 건축경기 불황으로 물량이 줄어들자 온갖 부작용이 빚어지고 있다.대표적인 유형은 전문 입찰브로커가 타인의 회사명의를 10여개 이상씩 빌린뒤 일당을 주고 입찰대리인을 고용해 마구잡이식으로 투찰하는 행위로, 이때문에 입찰 회사원임을 증명하는 서류를제출키 위해 해당회사의 직인으로 입찰현장에서 허위 재직증명서까지 만들고 있는 실정이다.이처럼 입찰대리인 자격을 얼마든지 급조할수 있어 요즘 경북도내 소액공사 입찰에는 평균 3백여명의 입찰인들이 몰려 북새통을 이룬다. 공사는 하지않고 입찰만 전문으로 하는 부실업체가 양산되는 판국이다.

실례로 최근 안동시와 봉화군이 집행한 신평보 보수공사(공사금액 8천8백만원)와 봉화읍 소도읍개발사업 공사(〃 7억3천8백만원)입찰에 각각 3백53개와 1백94개 업체가 참가했다.또 칠곡군이 실시한 지천면 송정지구 밭기반공사(공사금액 9천30만원)에는 2백62개사, 북삼면 숭오지구 기계화 경작로 포장공사(〃 1억2천8백만원)에는 무려 3백58개사가 응찰했다.더욱이 이들 입찰인중에는 젖먹이를 업은 부녀자와 문맹의 노인, 다방 여종업원들까지 끼여 있어낙찰된 경우 확인서조차 기록하지 못해 브로커가 돕는 해프닝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이런 방법으로 낙찰을 받은 브로커들은 다시 공사발주지역 업자들에게 일정액을 받고 불법 하도급공사를 알선하고 명의를 빌려준 회사에 공사금액의 상당액을 속칭 '부금'으로 건네 부실공사를유발하는 원인이 되고있다.

〈안동·鄭敬久·칠곡·李昌熙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