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한국·자민련 지역 국회의원

"분당사태-'DJP단일화' 입장정리 고민"

신한국당과 자민련소속 지역의원들이 동병상련(同病相憐)의 고민을 안고 있다. 신한국당의 내분이이만섭(李萬燮)고문의 탈당으로 분당사태로 치달으면서 그동안 반이회창(反李會昌)성향을 보여온일부 지역의원들이 탈당 여부를 고민하기 시작했고 DJP단일화협상이 사실상 마무리됨에 따라 자민련의원들도 입장정리에 나서고 있다.

신한국당에서 주목받고 있는 의원들은 김찬우(金燦于), 서훈(徐勳), 황병태(黃秉泰)의원 등 민주계와 권정달(權正達), 장영철(張永喆), 임인배(林仁培), 김석원(金錫元)의원 등 경선때 이수성(李壽成)고문을 지지했던 의원들이다. 그러나 김윤환(金潤煥)선대위원장과 강재섭(姜在涉)의원을 중심으로한 대부분의 지역의원들은'대안부재론'을 고수하고 있다. 이들은 이후보가 김영삼(金泳三)대통령과의 단절을 선언한 이후 지역여론이 상승기류를 타고 있다며 선거운동에 본격적으로 나설 채비를 갖추고 있다.

비주류로 분류되고 있는 이들 의원들도 '이회창으로는 대선승리가 불가능하다'는 인식속에서도탈당 등을 통한 대안모색에는 소극적이다. 경북지역의원들은 28일 저녁 서울시내 한 음식점에서모임을 갖고 당내 사태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그러나 지역의원들은 "이회창이외의 대안은 없다"며 "경북은 분열되지 않고 함께 가야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이견을 봉합했다. 또 탈당한이만섭고문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목소리가 적지않은 것도 이날 모임의 분위기를 대변했다.그러나 경북지역선대위원장을 맡고있는 권정달의원은 여전히'이회창으로는 안된다'면서 당내에서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장영철, 김석원의원등도 대선전망을 어둡게 보고있다. 또 김찬우, 황병태의원 등은 민주계와 같은 입장이라면서도"섣불리 탈당은 하지 않겠다"고말했다. 서훈의원은 이날 열린 대구지역 여성필승결의대회에 참석, 이회창지지를 공식 선언했다.탈당파들로부터 강하게 동참을 요구받고 있다는 임인배의원은 이인제(李仁濟)전경기지사 지지로선회했지만 탈당은 유보하겠다는 입장이다.

자민련의 속사정은 보다 복잡하다. DJP단일화 성사에 따라 연합정권에 참여하게 된 자민련소속지역의원들은 반DJ가 여전한 지역정서와 DJP합의문에서의 TK지분 배제를 이유로 탈당 등 DJP단일화 불참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 줄기차게 DJP단일화를 주장해왔던 박준규(朴浚圭)고문과박철언(朴哲彦)부총재까지 탈당 등을 통한 독자행동을 모색하고 있다.

박고문이 JP와의 관계 악화로 탈당해 무소속으로 DJ를 돕겠다는 입장인 반면 박부총재와 박종근(朴鍾根)의원은 "공동정권이라면서도 대선에서 가장 중요한 TK는 전혀 배려하지 않는 것은 있을수 없다"며 탈당 등을 통한 독자행동을 시사하고 있다. 김복동(金復東)수석부총재는 향후 입지 등을 고려해 참여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이정무(李廷武)총무는 고위당직자로서 맺은 JP와의 인간적인 관계와 정치적 소신사이에서 고민하고 있으나 지난 93년 대구동을 보선에 출마, 반DJ정서의실체를 확인한 안택수(安澤秀)대변인은 강경하다. 이의익(李義翊)의원은 양 김이 단일화 서명을하는 11월3일을 전후해 탈당 결심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고 박구일(朴九溢), 김종학(金鍾學)의원은관망파로 분류되고 있다.

결국 신한국당의 내분사태와 자민련의원들의 탈당 여부가 맞물릴 가능성도 적지 않은 것으로 관측돼 지역정치권의 재편 가능성까지 엿보이고 있다.

〈徐明秀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