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대통령당선자는'대통령직인수위 설치령안'이 22일 국무회의에서 통과됨에 따라 빠르면 이번주 초 대통령직인수위를 공식 발족, 정권인수 작업에 본격 착수하게 된다.정권인수위는 김당선자가 내년 2월25일 정식 취임할때까지 한시적으로 현 정부의 조직, 기능, 예산 등의 현황을 파악한뒤 주요 국가정책의 분석 및 수립, 정책기조 설정 등의 임무를 맡게 된다.특히 헌정사상 최초의 여야간 정권교체란 점에서 이번 인수위는 과거와는 다른 활동선례를 남길수 있다.
김당선자측은 위원수를 25인이내로 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92년 대통령직인수위가 5개분과위 15명수준이었던데 비해 대폭 늘어나게 되는 셈이다. 구체적으론 분과위가 1, 2개 증설되며 특히, 현재의 경제난을 고려한 경제분과위 설치에 비중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위원수는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공동정부 구성 정신에 따라 양당이 동수로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위원들을 지원하기 위해 정책자문단과 전문위원단도 부설되며 이들 조직까지 감안할 경우 총 참여인사들은 1백명 수준이 된다.
인수위 사무실은 92년 대통령직인수위가 사용했던 청와대 부근 삼청동 금융연수원으로 내정됐다는 것.
인선 방향은 양당의 중량급 인사들을 주축으로 하게 된다. 물론 과거 인수위 활동 경험이 있는 인사들도 대상이다.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인수위원장엔 이종찬부총재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업무의 연속성을감안, 대선 당시 후보지원단장을 맡았던 이부총재가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명망있는 외부인사의 영입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김당선자가 주변인물을 포함, 논공행상에 의한 인사는 가급적 배제하겠다고 밝힌 점을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위원으로는 국민회의에서 한광옥(韓光玉)부총재, 당 3역, 이해찬(李海瓚)의원 등과 인수위 경험이있는 최수병(崔洙秉)경제특보, 김중권(金重權)정치특보 등이 거론되고 있다.
자민련측에선 김용환(金龍煥) 박철언(朴哲彦)부총재와 당 3역, 이긍규(李肯珪), 이동복(李東馥)의원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