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다른 신체부위보다 노출이 많은 손발이 다소 찬 것은 자연스럽다. 체온은 혈액 순환으로유지되는데 심장에서 손발까지 돌다보면 식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손발이 병적으로 찬사람들은 수족냉증에 걸렸다고 말할 수 있다.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발병률이 높은 수족냉증을 한방에서는 수족궐랭(手足厥冷) 또는 사지궐역(四肢厥逆)등으로 부르며인체 내장의 기(氣)가 약해져 차게 되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본다.
이것은 거꾸로 손발이 찬 것은 내장도 차다고도 볼 수 있다.
손발이 곧 인체 내장의 온도계인 셈. 따라서 손발의 냉온에 따라 내장의 기(氣)의 상태를 짐작할수 있다.
한방은 손발이 차게되는 이유를 크게 인체기능이 허약해진 양허(陽虛), 외부환경등의 영향으로 찬기운이 국소에 뭉친 한응(寒凝), 기의 순환이 잘 안되는 양울(陽鬱)등으로 구분한다.양허는 글자 그대로 양기가 부족한 경우로 추위를 잘 타고 몸전체가 찬 것을 가르킨다. 증상은 비실비실 힘이 없고 입맛이 없으며 대변이 무른 경우가 많은데 여성의 경우 얼굴에 윤기가 사라지고 현기 증세를 보인다.
특히 겨울철 바깥에 장시간 있다 보면 하복부가 자주 싸늘하게 식고 자궁이 약해 생리때 복통.요통이 잦다.
한응은 원래 양기가 많은 체질이라 하더라도 찬기운을 오래 쐬면 한기가 체내에 뭉쳐 일어난다.증상은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초기 증세와 흡사, 관절부위가 시리고 쑤시게 된다.또 빈혈이 있는 여성들은 혈액순환이 안돼 손발이 차가워질 수 있다.
양울은 양기는 충분하지만 스트레스나 비정상적인 식생활로 피가 탁해져 사지까지 도달하지 못해일어난다.
이 경우 손발뿐아니라 팔꿈치나 무릎까지도 차게 되는 것이 특징.
이밖에 수족냉증은 체질적으로 위장기능이 좋지 못한 소음인이나 심장이 좋지 못한 태음인에게서잘 발병하는데 소음인은 몸을 따뜻하게 하고 비위의 기능을 도와주는 약을 써야 하며 태음인은몸안에 정체된 습한 기운을 땀과 소변으로 제거한뒤 순환기기능을 높이는 약을 써야 한다.속열이 많은 사람도 겨울철 땅과 같이 겉은 차고 속은 더울 수가 많아 속열을 빼주어야 한다.현대 한방병원 류주열원장은 "수족냉증은 발병원인과 체질에 따라 치료를 달리 해야 효과를 볼수 있다"며 "목과 허리디스크로 인한 신경전달계통에 문제가 생겨도 손발이 차가워진다"고 말했다.
◇인삼을 갈아 꿀에 잰후 복용하면 좋다.
◇생강차 계피차나 수정과를 물대신 따뜻하게 상복하면 좋다.
◇쑥을 삶아 그 물을 꼭 짠후 약한 불에 고아 조청을 만들어 더운물에 타서 마신다.◇마늘을 꿀에 한달에서 여섯달 정도 묵혀 짓물러졌을때 한두쪽씩 꺼내 더운물에 타서 마신다.◇혈액순환을 돕는 홍화씨를 차로 달여 먹거나 입욕제로 사용한다.
(주의점= 민간요법은 수족냉증이 있더라도 속에 열이 있는 사람은 더 심해질 수 있다. 또 추위를많이 타고 속이 냉하다고 인삼 꿀을 장복하는 경우가 흔한데 이는 당뇨나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禹文基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