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정부 이틀째 행정공백

국회의 '김종필(金鍾泌)총리 인준안 처리' 무산으로 이틀째 행정공백이 빚어짐에 따라 공직사회가우왕좌왕하고 있다.

각 부처 공무원들은 일손을 놓은채 총리서리 체제가 가능한지에 대한 법적 논란을 벌이기도 했으며,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통폐합이 임박한 부처에서는 모든 업무가 사실상 정지된 상태에서 직원들이 책상만 지키고 있는 현상이 벌어졌다.

내무부와 행정자치부로 통합되는 총무처는 단지 정부조직법의 공포에 이어 새행정자치장관이 조속히 임명돼야 부처가 정상 가동될수 있음을 강조했다.

한 관계자는 "정부조직법의 공포로 행정자치부가 생기는 순간 내무부와 총무처공무원들은 국·과장 등 보직없이 단지 '행정자치부의 직원'일 뿐"이라며 "보직이 없는 이 상태에서는 누구도 정책과 예산집행에 대한 결재를 할수 없기 때문에 결재라인이 마비된다"고 지적했다.국정이 이같이 표류하자 정부는 이날 고건(高建)총리 주재로 긴급 장관회의를 열어 행정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했다.

고총리는 회의에서 국정은 한 순간이라도 공백이 있어서는 안되는 만큼 행정공백을 최소화하기위해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고 "새 정부조직법의 공포문제도 김대중(金大中)신임대통령의 뜻에 따라 처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