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 총리인준안 처리문제를 둘러싼 경색 정국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여권 내부에서 그 해법등을 놓고 갈등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공동정권을 운영하고 있는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특히 한나라당측이 추경예산안을 우선 처리하자는 등 대여 강경일변도 전략에서 변화조짐을 보이고 있음에도 그 대응 방안을 놓고 계속 이견을 표출할 정도다.
한나라당측은 10일 추경예산안의 분리처리를 수용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으나 여권이 선뜻 동조할 수 없는 조건이 붙었다. 새정부가 예산을 다시 편성, 국회에 제출하라는 것이었다.이는 예산안 제출과 관련한 시정연설을 다시 해야 하느냐, 한다면 누가 하느냐는 문제와 연결돼있다. 한나라당측은 예산안을 새로 편성하게 되는 만큼 시정연설도 다시 해야 하며, 위헌인 김종필(金鍾泌) 총리서리 대신 재정경제부 장관이 연설하는 식으로 해결하자는 입장이다.이에 대해 국민회의측은"시정연설은 이미 마쳤기 때문에 다시 할 필요가 없다"며 일단 반대했으나 당지도부 일각에선 경색정국을 타개하기 위해 민생현안의 분리처리론을 주도해온 만큼 수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반면 자민련측은 강경 분위기다. 분리처리되더라도 김총리서리가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 단상에서지 못할 경우 자칫 JP에 대한 총리서리 용퇴론쪽으로 여론이 쏠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자민련은 한나라당측의 저의를 부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면서 수용불가 입장을 고수하고있다. 저의란 여권 공조전선의 분열을 노렸다는 것이다.
앞서 JP 총리인준안 처리를 위한 지난 2일 국회 표결 파행을 놓고도 특히 국민회의의 경우 겉으론 한나라당의 불법적인 투표방식을 비난하고 있으나 내심으론 자민련과 다른 기류가 감지됐다.한 고위당직자는"한나라당과 자민련이 서로 표결결과에 자신이 없어 파행을 빚었던 것일 뿐"이라며 자신들은 직접적인 이해당사자가 아니라는 투였다.
양당간 불협화음은 급기야 개각문제로까지 옮겨갔다. 국민회의 일부 당직자들이 사석에서 초대내각 인선과 관련, "부동산 투기 등의 혐의로 비난여론에 몰리고 있는 각료들이 어느 쪽 출신이냐"고 반문, 자민련측을 겨냥한 데서도 엿보인다.
지방선거후보 연합공천 문제를 놓고도 마찰하고 있다.특히 국민회의측이 수도권 광역단체장을 모두 차지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자민련측은 경기지사만은 자신들이 맡겠다고 응수하고 있다.
결국 여권의 공조균열이 경색정국 장기화에 한 몫하고 있는 셈이다.
〈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