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9일의 지방선거 후보등록을 앞두고 경제 실정 등을 둘러싼 여야 공방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한나라당의 경우 특히 지난 16일부터'김대중(金大中)정권 초기 20대 실정(失政)'을 공격한다는 방침아래 대여 전선을 확대, 경제 실정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행정개혁과인사청문회 개최문제 등 비경제분야까지 공격하기 시작한 것이다.
국민회의와 자민련 등 여권은 이날 오전 서울 중앙당사에서 각각 선거대책위 회의를 갖고경제책임론 공방이 이번 지방선거의 쟁점이 될 것이란 판단아래 야당측 공세에 대해'과거정권 책임론'으로 맞대응키로 하고 구체적인 대책을 논의했다.
특히 한나라당에 대해 국회 과반수의석을 갖고 있음에도 국정운영에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함으로써 경제난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식의 반박논리도 제시됐다는 것.
선거후 본격화할 정계개편 작업에 앞서 지지여론을 확산시키겠다는 계산도 깔려있을 것이다.
하루전 국민회의측은 신기남(辛基南)대변인 논평 등을 통해 여론조사 결과까지 내세우면서"환란의 책임을 한나라당과 그 핵심세력에게 물어야 한다는 것은 국민의 뜻"이라고 반박하고나왔다. 또한 한나라당의 경제 실정 공격을 방화범이 소방수에 대해 화재책임을 묻는 것과같다는 식으로 비난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이날 김대통령정권의 20대 실정중 비경제분야인 자치경찰제와 읍·면·동 폐지 등을 둘러싼 정책 혼선을 집중 공격했다·오는 20일엔 대통령직인수위 1백대 과제의 문제점, 지방자치단체의 연말 파산위기 등을 제기해 나갈 계획이다. 지방선거의 쟁점으로 계속 부각시켜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앞서 당은 지난 16일엔 경제분야 실정과 관련,현 정부는 경제를 회복시키기는 커녕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는 등 정책 혼선을 공격했다. 또한 실업대책 재원도 소요예산 7조9천여억원중 일반 회계 2천6백6억원을 포함, 1조4천여억원밖에 확보하지 못한 상태라면서 그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