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은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1차 지역민영방송국이 '전파의 지방자치'를 기치로내걸고 출범한지 만 3년이 되는 날.
또 지난해 9월부터는 전주, 울산, 청주, 인천 등 2차 지역민방 4개사도 속속 개국, 방송사 수로만 보면 국내 지역민방은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지역민방은 케이블TV와 함께 '실패한 방송정책'의 표본으로 꼽히고 있으며 이들의부실한 편성과 경영은 대책을 내기 어려울만큼 심각한 위기상황으로 치닫고 있다.지난해까지만 해도 지역민방들은 어려운 가운데서도 적자규모가 줄어드는 등 점차 안정돼가는 추세였다. 그러나 IMF 한파가 닥쳐온 지난해 말 이후 상황은 급변했다.
우선 방송국 운영의 기반이 되는 광고판매율이 형편없이 떨어졌다.
지난해 이맘때 75~80%의 광고판매율을 보이던 1차 민방의 경우 최근에는 34~41%로 평균37.5%에 머물고 있으며 채 기반도 닦기 전에 불황을 맞은 2차 민방들은더욱 낮은 10~37%로 평균 28% 남짓을 판매하는데 그쳤다.
지난해 결산에서는 1,2차 지역민방을 모두 합쳐 대전방송만 6억 흑자(96년은 14억 흑자)를기록했다. 나머지는 1차 민방이 6억~30억원, 2차 민방이 2억~90억원의적자를 냈다.경영이 어렵다보니 돈이 많이 들어가는 자체제작 프로그램 비율도 대부분 감소했다.로컬편성은 38.6%이지만 외주제작을 제외하면 순수 자체제작 비율은 많이 떨어진다.부산이 19.1%(지난해는 29%), 대구가 19.1%(25%), 대전이 15.5%(15.6%), 광주가16.5%(19.7%)에 불과하며 2차 민방도 자체방송이 대부분인 인천방송을 제외하면 12~13%대를 기록중이다.
지역민방이 이 고리를 벗어나려면 질적인 발전이 필수적이지만 지금으로서는 그 실마리가보이지 않는 셈이다.































댓글 많은 뉴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