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증가추세에 있던 대구지역의 창업업체 수가 올해들어서는 IMF관리체제에 따른 극심한불황 여파로 지난해보다 18.3% 감소했다.
또 이들 창업업체는 창업을 준비할때 자금조달과 각종 절차를 밟는데 가장 큰 애로를 겪어창업자금 지원확대및 행정절차 간소화등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대구상의는 18일 지역의 창업실태및 활성화방안을 조사한 결과 지난 5월까지 3백79개 업체가 창업,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3%, 96년보다는 12.8% 감소했다고 밝혔다.
창업업체의 업종은 제조업이 1백66개(43.8%), 건설업 58개(15.3%), 유통업 84개(22.1%), 기타71개(18.8%)였는데 자본금은 상법상 기본자본금 5천만원인 업체가 60.4%(2백29개)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건설업은 극심한 경기 불황때문에 지난해 1~5월 1백6개에서 올해는 52개 업체로 크게줄었다.
그러나 직물제조, 섬유염색가공, 직물및 원사가공등 섬유관련 업체는 환차익과 계절적 수요증가요인에 힘입어 지난해보다 2.1배 많은 63개 업체가 창업했다.
또 올해 창업한 업체들은 공장설립과 설비투자등 창업초기 자금조달에 가장 큰 어려움(63.2%)를 겪었는데 정부및 공공기관의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업체는 10.5%에 불과했다.이와 함께 창업시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창업자금 지원확대(52.6%)와 창업을 위한 각종절차의 간소화(26.3%), 창업입지 지원(10.5%), 세제상의 혜택 확대(5.3%)등을 꼽았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