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시장이 급격히 침체된 가운데 복잡한 부가기능을 없애고 필수적인 기능만을 살려 제품가격을 대폭 줄인 'IMF형 가전제품'이 인기를 끌고있다.
특히 올들어 삼성, LG, 대우등 가전3사는 다기능위주의 종전제품보다 가격이 20~30%가량싼 보급형 제품을 잇따라 출시, 가전시장의 소비패턴변화를 주도하고있다.
대구백화점의 경우 공기정화, 급속냉각, 터보냉각등 부가기능을 갖춘 슬림형 에어컨 대신 부가기능을 없애 가격을 28~36%가량 줄인 분리형 에어컨이 전체 판매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있다.
또 센서 메모리 입체풍향기능을 없애고 바람의 세기와 단순시간예약기능만을 갖춘 4만~5만원대의 'IMF형 선풍기'도 인기를 끌고있다.
VTR역시 화질보전 죠그셔틀 캠션기능을 갖춘 고급형보다는 재생기능과 예약녹화만 가능한20만~40만원대 상품이 전체 판매량의 70%가량을 점유하고있다. 세탁기 역시 비싼 알루미늄소재대신 플라스틱을 사용, 원가를 절감한 제품이 다기능제품보다 매출에서 앞서는등 전자제품 하루 판매액 1억여원중 'IMF형 상품' 매출이 70%가량인 7천여만원을 차지하고있다.동아백화점 역시 기능축소로 가격이 싼 분리형에어컨등 IMF형 제품이 가전제품 전체 매출의 70%에 이르고있다.
또 전기사용량이 적은 절전형제품 선호현상이 두드러지면서 4인용 꼬마밥통, 손잡이 청소기,미니 짤순이, 미니 커트기등 미니가전품의 인기도 계속 높아지고있다.
이밖에 삼성홈플러스등 대형 할인점에서도 단순기능위주의 저가가전제품이 전체가전제품 매출액의 70~80% 가량 차지하고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