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인류학적 방법론을 통해 현대 구조주의 사상의 새로운 장을 개척한 대사상가이다.서구사회, 나아가 현대사회가 가지고 있는 '민족적 우월감의 사상'(ethnocentrisme)을 비판하면서 인류문화란 하나의 잣대로 재단될 수 없다는 것이 사상의 핵심이다.
'슬픈 열대'는 그의 인류학을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그가 브라질에 체류했던 1937년에서 1938년까지의 기간중 브라질 내륙지방에 살고 있던 네 원주민 부족인 카두베오족, 보로로족, 남비콰라족, 투피 카와이브족을 통해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적 사유에 대한비판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문명의 고발과 함께 신세계의 붕괴, 이국적인 것에 대한 환멸, 그 자체를 정당화시키지 못하는 경험의 무능력등의 많은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레비-스트로스의 눈에 모든 것은 비관적일 뿐이다. 그래서 열대 원주민사회는 '슬픈'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