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군, 간첩수색작전 사실상 종결

강원도 동해 앞바다 무장간첩 침투사건과 관련, 군 당국이 잔당소탕을 위해 대대적으로 전개한 수색작전이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변사체 발견 일주일만인 18일 사실상 종결됐다.

군 당국의 수색작전 조기종결은 장기적인 대간첩작전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우려하는 이지역주민들의 불만 고조와 무장간첩 잔당의 육상침투 흔적이 전혀발견되지 않아 더 이상의수색작전은 득보다 실이 많을 것으로 판단한데 따른 것이다.

군 당국은 지난 12일 강원도 동해시 어달동 해안에서 북한 무장간첩 1명의 시신과 침투용장비가 발견되자 2명 정도의 생존잔당이 육상으로 침투한 것으로 추정하고 대대적인 소탕작전에 돌입했다.

간첩시신 발견지역을 중심으로 인접 군단과 특공연대, 항공단 등이 총동원돼 매일 3만여명의 병력이 해상탐색과 해안경계를 비롯해 무장간첩 예상도주로에 대한 매복과 수색 등 대간첩작전을 벌였다.

그러나 지난 15일 시신 발견지점 인근해상에서 숨진 무장간첩이 착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납벨트 1개를 발견한 것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실적을 올리지 못한 채 소모적인 수색작업이계속됐다.

뿐만 아니라 해안을 봉쇄하고 도로에 대한 검문검색이 강화되면서 동해시만 80억여원의 경제적 손실을 입는 등 본격적인 피서철을 맞은 강원도 경제가 심각한 지경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자 지역주민과 일부 정치권의 군당국에 대한 불만이 증폭되면서 물량위주의 기존 수색작전을 보다 효율적인 방향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군내부에서 제기되기 시작했다.국방부는 급기야 악화되고 있는 여론 무마와 군 기강의 확립을 위해 지난 16일 해군 1함대사령관과 육군 68사단장,102여단장 등 장성급 지휘관 3명을 보직해임하는등 문책인사를 단행한데 이어 같은 날부터 동해시 도심지역 등의 통행자제요청을 완전 해제했다.천용택국방장관도 다음날인 17일 작전지역을 방문, 해안경계를 위해 공익근무요원들을 투입하고 주민통제를 완화하는 한편 국지적인 수색작전으로 주민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는 주민통행과 생계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대규모 병력 위주의 간첩수색작전을 사실상 끝내고 특공대 등 일선부대 지휘관들에게 작전권을 이양, '거점방어' 전술로 전환하기 위한 입장표명이라고 군관계자들은 설명했다.

그러나 군 당국은 무장간첩 잔당소탕을 위한 수색작전을 완전히 종결하는 것은 아니고 특전사 해저탐색 활동과 일부 취약지역에 대한 매복 및 수색, 동해시로 연결되는 주요 길목의군·경 합동검문검색은 당분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국방부 관계자는 "그동안 수색결과 내륙에서 무장간첩의 침투흔적이 전혀 포착되지 않은 점 등으로 미뤄 육상침투 가능성이 크다는 기존의 입장에서 후퇴, 잠수정 복귀후 월북이나 수중사망 가능성에 오히려 무게를 두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