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년 이후 계속 줄어들던 쌀 소비가 올들어 늘어나는 반면 육류, 과일의 소비는 줄어들고있다.
IMF이후 가계가 쪼들리게된 서민들이 과일·육류의 소비를 줄이고 밥과 반찬을 잘먹자는쪽으로 식단을 바꾸기때문이다.
최근 농협 슈퍼, 지역 백화점, 재래시장 등의 쌀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20% 정도가 증가했다. 20kg들이 소비자가격이 3만9천~4만원하던 것이 최근 한달 사이에 4만2천~4만3천원으로 뛰었지만 여전히 판매량은 늘고있다.
85년 한 해 국민 1인당 1백28kg의 쌀을 소비하던 것이 지난 96년 1백5kg으로 떨어졌다가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는 신호탄인 셈. 쌀 값 증가세가 두드러지자 상당수 쌀 판매점은 보다싼 가격에 원료곡식을 확보하려고 안간힘을 쓰기도 한다. 8월 중순 쯤 정부가 쌀 값 결정에개입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쌀 소비 증가와 함께 반찬거리인 부식류 소비도 많아졌다. 대형할인점, 백화점 관계자들은반찬거리인 부식류 판매량이 6월과 7월 두달동안 전년보다 15% 안팎의 증가세를 보였다고말했다.
그러나 참외, 수박, 토마토 등의 과일류 판매는 업체에 따라 제자리 걸음을 하거나 20% 이상 떨어진 곳이 많았다. 외식과 기호 농산물 소비가 줄어든 반면 '밥과 반찬을 잘 먹자'는쪽으로 식생활 양식이 바뀌는 것이다. 요즘 주부들이 하우스 생산 과일 대신 값 싼 '제 철과일'을 선호하는 것도 비슷한 경우다.
이와 함께 최근 폭락세를 거듭하고 있는 쇠고기, 돼지고기 등은 작년과 비교할 때 대구지역이 전국 평균을 웃도는 24%나 적게 소비된 것으로 나타났다. .
농협대구경북지역본부 양곡과 허일구대리(41)는 "가격영향을 덜 받고 수요가 일정한 쌀의소비가 증가하는 것은 식생활 변화를 예고하는 현상"이라며 "필요한 것만 소비하려는 시민들의 위축된 심리가 그대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全桂完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