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와 자민련은 2일 지난 대선당시의'판문점 총격요청설'파문과 관련, 배후에 대한 철저한수사와 관련자들의 사법처리 등을 요구키로 하는 한편 국회차원의 여.야합동 진상조사단 구성을제의하는 등 초강경 대응으로 나서고 있다.
이같은 분위기속에 여권 일각에선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를 겨냥해 정계은퇴, 나아가 국외추방론까지 제기하는 상황으로까지 치닫고 있다.
물론 추석직후를 기점으로 대화정국을 모색해야 한다는 유화론자들의 목소리는 눈에 띌 정도로잦아들고 있다.
국민회의는 이날 오전 여의도당사에서 간부회의를 갖고 구여권이 북한측에 총격을 요청했다는 설과 관련,"적과 내통한 반국가적 범죄행위"라는 등 강력히 성토하면서 이총재의 사전인지 여부에대한 의혹을 집중 부각시켰다. 국세청 대선자금 모금사건 등에 이어 이총재의 부도덕성 등을 거듭 공격해나가기 위한 호재로 활용하겠다는 의도도 내비치고 있는 것이다.
때문인듯 대선당시 이총재 아들의 병역면제 의혹까지 다시 끄집어 내고 있는 것이다. 박홍엽(朴洪燁)부대변인이 "이총재가 사건 당사자인 오정은씨 등과 만난 적이 있다고 실토하고 있으나 그내용에 대해선 침묵하고 있다"며 "아들병역기피, 세도사건에 이어 이번까지 빠져 나갈 것인가"라고 공격한 데서 엿볼 수 있다.
당은 또한 지난 대선당시 정재문(鄭在文)의원과 북측 안병수조국평화통일위원장대리간의 북경접촉설을 재부각시킴으로써 이번 사건과의 연계의혹을 제기하는 등 구여권에 대한 총공세로까지 비화시키고 있다. 이들 두 사건은 구여권의 북풍공작차원에서 연결돼있고 그 정점에 판문점 총격요청설이 자리해있다는 주장인 셈이다.
자민련의 경우 보수원조를 자처해온 만큼 "천인공노할 적과의 내통"이라는 등 더욱 격앙된 분위기속에 총재직 사퇴와 정계은퇴까지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여권 일각에선 이번 파문이 자칫 양측간 전면전으로 치닫게 될 가능성도 있는 만큼 급속도로 확산되는 것에 대해 경계하는 모습도 감지되고 있다. 게다가 한나라당측에선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대북접촉설을 맞제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있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