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개신교는 불교나 천주교에 비해 '사회 영향력 증대', '시대변화에 대한 빠른 적응'등의긍정적 요소가 두드러지는 한편 '구제/봉사활동''종교지도자의 자질''교세확장'등에서 부정적 요인이 많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
한국교회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위원장 이동원목사)이 한국갤럽에 의뢰, 전국 개신교 교단과 교인들을 상대로 타종교 및 비종교인과 비교분석한 '한국개신교인의 교회활동 및 신앙의식 조사'에서이같이 나타났다.
과거 타종교를 믿은 경험유무에 대해 개신교인의 11.7%, 불교인의 19.3%, 천주교인의 16.3%가 개종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타종교에 비해 개신교인들의 개종경험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개신교로의 개종이유는 주위 및 가족권유( 33.1%)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고, 타종교인 및 비종교인들에 대한 개종 또는 신앙의향에 관해서는 불교, 천주교, 개신교의 순으로 개신교가 가장 낮은선호도를 보였다.
종교교리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유일신사상'에서 개신교인(79.4%), 천주교인(71.2%)은 공감대를형성하고 있으나 '종말론'(개신교 68.9%, 천주교 34.6%), '재림'(개신교 80.7%, 천주교 51.0%) 등에서 시각차가 벌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교인의 경우 윤회설, 궁합, 풍수지리 등을 인정하는 성향이 우세했다.
비종교인을 대상으로한 한국교회의 이미지평가에서는 '우리사회에 미치는 영향력 증가'에 대해개신교(53.2%), 천주교(40.3%), 불교(37.1%), '시대변화에 빠르게 적응'문항에서도 개신교(44.6%),천주교(32.7%), 불교(21.6%)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제/봉사활동'에선 천주교(44.8%), 개신교(37.8%), 불교(25.3%)순으로 잘한다고 답했고,'종교지도자의 자질 우수'문항에선 천주교(40.8%),불교(26.7%), 개신교(22.8%), '참진리 추구보다 교세확장에 더 관심있다'와 '헌금강요 경향'에는개신교가 각각 76.0%, 70.8%로 응답, 타종교에 비해 강한 부정적 이미지가 형성돼 있는 것으로집계됐다.
현대사회 윤리문제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이혼, 인공유산, 음주, 흡연, 혼전성관계, 혼외성관계, 뇌물제공 등 7개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개신교인이 비개신교인들보다 '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 우세해 보수적인 사회윤리성을 엿볼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